한국토지주택공사, LH가 지난해 귀농귀촌을 활성화한다며 모듈러 공법을 적용한 주택단지를 구례에 전국에서 처음으로 조성했습니다.
그런데 비만 오면 집 안으로 물이 새어 들어오고 토사가 흘러내려 안전을 걱정하고 있습니다.
'하자 투성이' 귀농귀촌 주택단지를 이상환 기자가 고발합니다.
【 기자 】
천장에서 쉴 새 없이 물방울이 떨어집니다.
받쳐놓은 대야에는 빗물이 가득 차 있고, 바닥에 깔아 놓은 수건은 흥건히 젖었습니다.
지난해 11월 구례에 조성된 LH의 귀농귀촌 주택 26채 중 9세대가 누수로 고통받고 있습니다.
▶ 싱크 : 입주민(음성변조)
- "일단 장마철이 겹치긴 했지만 저희가 체감적으로 느끼는 것은 (하자 보수가) 좀 너무 늦다는 생각을 하고 있습니다"
입주 당시 한전 전력망과 연결됐어야 할 태양광 발전시설은 반년이 지난 올해 5월에야 마무리됐습니다.
이 때문에 난방비 폭탄을 맞게 됐다고 주민들은 하소연했습니다.
LPG와 전기로 난방을 하면서 지난해 12월 전기요금은 30만 원이 넘었습니다.
▶ 싱크 : 장영애 / 입주민
- "저는 (난방이 전기) 판넬인지도, 저는 그런 걸 안 써봤기 때문에 아파트에서 도시가스만 써봤기 때문에 판넬이란 자체를 몰랐고.."
또 주택들이 경사지에 계단식으로 지어져 비가 오면 토사가 흘러내려 안전을 해칠 수 도 있다고 주민들은 걱정하고 있습니다.
이로 인해 월 임대료 16만 원, 4년 임대 후 분양 전환이란 파격적인 조건이지만 귀촌 생활을 계속해야 할지 고민하고 있습니다.
▶ 싱크 : 입주민(음성변조)
- "하자 보수라든지 아니면 진행되는 여러 가지 상황을 봤을 때 제가 한 선택들이 잘한 선택인지 좀 이런 의구심이 드는 상황으로 자꾸 변해가는 것 같아요"
취재가 시작되자 LH 측과 시공사는 순차적 보수로 다소 시간이 걸리고 있다며 보수 공사를 완벽하게 진행하겠다고 해명했습니다.
KBC 이상환입니다.
댓글
(1)너무 실망 스럽습니다.
모듈러주택이 아무리 초기여도
귀농귀촌 주택이 실험대상이 되는것 같아 씁쓸합니다.
신속한 하자보수, 누수방지대책, 물길 안전대책 등
종합적인 대책을 마련해 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