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창문도 못 열어"..군공항 소음 피해 손 놓은 북구

    작성 : 2024-06-07 21:20:09
    【 앵커멘트 】
    2020년 군소음 보상법이 시행된 이후 보상이 시작됐는데, 여전히 혜택을 보지 못하는 사각지대가 많습니다.

    지자체가 군소음 피해 보상 지원에 사실상 손을 놓으면서 피해 주민들이 답답함만 커지고 있습니다.

    임경섭 기자의 보돕니다.

    【 기자 】
    광주 북구의 한 아파트 단지입니다.

    전투기 선회 구간에 위치해 있어 전투기 소음에 신경이 곤두서기 일쑵니다.

    특히 훈련기간이면 마음 놓고 창문도 열지 못합니다.

    ▶ 인터뷰 : 천명옥 / A아파트 입주자
    - "(전투기가) 위로 돌아갈 때만 되면 귀가 따가울 정도로 굉장히 크거든요. 전혀 다른 것은 들을 수도 없는 거고. 자다가 깨는 것은 물론이고 어린애들은 놀다가도 깜짝 놀라서 울고.."

    인근의 다른 아파트도 사정은 마찬가지.

    훈련하는 전투기의 소음에 조용할 날이 없습니다.

    문제는 군공항 이전을 기약 없이 기다려야 한다는 겁니다.

    ▶ 인터뷰 : 김광현 / B아파트 입주자 대표
    - "저희가 입주한 지 4년이 넘었습니다. (군공항) 이전하는 줄 알고 그래도 이제 참고 지냈었는데..앞으로 10년 이상 걸릴 것 같아서 입주민들이 스트레스가 더 심해진 것 같습니다."

    전투기 소음으로 실생활에 큰 지장을 받고 있지만 보상을 받을 길이 없습니다.

    2020년 국방부의 1차 소음영향도 조사 당시 측정 대상지에서 제외됐기 때문입니다.

    북구청에 피해를 호소해도 공군에 문의를 해야 한다거나 비행 훈련 일정을 안내하는 수준에 그쳤습니다.

    주민들의 소음 피해에 지자체가 손을 놓고 있다는 비판이 나옵니다.

    ▶ 싱크 : 광주 북구 관계자
    - "적극적으로 저희들이 지역 주민들의 피해를 (공군에) 전달하도록 하겠습니다. 우리 관내에 측정 지점을 되도록 여러 군데에서 측정이 되도록, 고정식(장치)으로 되도록 건의하겠습니다."

    5년에 한 번 이뤄지는 소음 측정을 앞둔 만큼, 고통받는 주민들에게 적절한 보상이 이뤄지도록 지자체가 적극 나서야 한다는 지적이 나옵니다.

    KBC 임경섭입니다.

    댓글

    (1)
    ※ 댓글 작성시 상대방에 대한 배려와 책임을 담아 깨끗한 댓글 환경에 동참에 주세요.
    0 / 300
    최신순 과거순 공감순
    • 정병근
      정병근 2024-06-08 08:49:00
      송정동에서 30년 살아온 나도 보상구역 아니라고 보상 받지도 못했는디 북구는 어디 첨단이나 되나본디 고작 4년 살고 보상받을라하네ㅡㅡ 어이가 없다

    랭킹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