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증장애인 치과 '부족'..광주ㆍ전남 전문 치과 1곳 뿐

    작성 : 2018-09-30 18:55:27

    【 앵커멘트 】
    중증장애인들은 이가 아파도 표현할 수 없거나, 입이 벌어지지 않아 치과 치료를 제대로 받기 어려운데요.

    특히 장애인 전문 치과마저 부족해 치료시기를 놓치는 경우가 많습니다.

    고우리 기잡니다.

    【 기자 】
    뇌병변장애인 46살 김용봉 씨는 치통에 시달리면서도 진통제만 먹고 있습니다.

    중증장애인의 경우 간단한 치과 치료도 전신마취를 해야 해 일반 치과병원은 갈 수 없기 때문입니다.

    중증장애인 치료시설을 갖춘 병원에 가려면 두 달을 기다려야 해 치통을 참는 게 일상이 됐습니다.

    ▶ 인터뷰 : 김용봉 / 중증장애인
    - "약을 좋아하지도 않는데 한동안 먹고 말죠. 참을 수밖에 없어요 "

    중증장애인 이계천 씨도 나주에서 광주까지 갈 엄두가 나지 않아 치과 진료를 포기했다고 말합니다.

    ▶ 인터뷰 : 이계천 / 중증장애인
    - "다른 택시는 못 타요 차도. 장애 콜택시를 예약해가지고 가는 수밖에 없거든요. 그러면 또 광주에서 나주로 내려와야 하는데 그것도 예약을 해야 돼요"

    보건복지부는 지난 2009년부터 중증장애인 구강진료센터를 지정해 치료비와 시설비를 지원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다른 환자들에 비해 진료시간이 3~4배 더 걸리는데다 마취통증의학과 전문의까지 있어야 해 선뜻 나서는 병원이 많지 않습니다.

    광주전남에 중증장애인 치료시설을 갖추고, 치료비를 지원하는 치과병원은 한 곳에 불과합니다.

    사정이 이렇다 보니 이 치과병원의 중증장애인 치료 건수는 한 달 평균 2백50여 건, 지난 1년 동안 3천 건에 이릅니다.

    ▶ 인터뷰 : 박홍주 / 구강안면외과 교수
    - "틀니 같은 건 보험이 되지 않습니까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런 분들이 치과까지 가는 것 자체를 힘들어하는 분들이 많고"

    스스로 치아 관리를 하기 어려운 중증장애인들에게 치료마저 그림의 떡이 됐습니다. kbc 고우립니다.

    댓글

    (0)
    ※ 댓글 작성시 상대방에 대한 배려와 책임을 담아 깨끗한 댓글 환경에 동참에 주세요.
    0 / 300

    많이 본 기사

    랭킹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