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앵커멘트 】
수당 조작과 폐경진단서 요구 등 위탁업체의 잇딴 말썽에 순천시가 환경미화 업무를 원점에서 전면 재검토하기로 했습니다.
운영 방식을 바꾸기 위한 용역을 실시한 뒤 이르면 내년 하반기에 새로운 체제가 도입될 것으로 보입니다. 이상환 기자의 보돕니다.
【 기자 】
순천시 청소 행정을 둘러싼 노사 갈등과 체불 논란이 끊이지 않고 있습니다.
지난달에는 청소 위탁업체가 보건휴가를 쓰려는 여성에게 폐경이 아니란 진단서를 요구해 인권 침해 논란을 빚었고, 최근엔 수당 내역을 조작한 사실까지 드러났습니다.
순천시 역시 직영 환경미화원들의 야간 수당 17억 원을 주지 않아 피소됐고, 시장이 기소의견으로 검찰에 송치될 위기에 놓였습니다.
▶ 싱크 : 고용노동부 여수지청 관계자
- "소 취하 안 하면 기소 의견으로 (검찰에) 올리죠. 최대한 빨리 하려고 하고 있어요."
결국 순천시가 청소 업무 운영 방식을 원점에서 재검토하기 위한 용역에 들어갔습니다.
현재 직영 인력 백 20여 명이 청소 업무의 40%를, 4개 위탁업체 88명이 나머지를 맡는 운영 방식과 예산 배분 형태를 바꾸겠다는 겁니다.
8천만 원이 투입되는 이번 용역은 환경미화원 적정 인원과 배치 방식, 원가 산정 등을 조사해 내년 2월쯤 마무리될 예정입니다.
▶ 싱크 : 순천시 관계자
- "적정한 청소 형태가 무엇인가 그것부터 해서요. 시 직영이나 대행업체의 업무 진단 같은 것, 적정 원가 산정 이런 것 전반적으로 다 (용역에) 넣었습니다. "
높아진 환경미화원들의 학력과 의식을 행정이 따라가지 못한다는 지적이 제기되는 가운데 이번 용역 조사가 어떤 결과로 이어질지 주목됩니다. kbc 이상환입니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