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전 화재 문자, 최대 20시간 지연...조인철 "완진 후 알림, 주민 대피에 무용지물" [국정감사]

    작성 : 2025-10-15 13:05:01
    ▲ 더불어민주당 조인철 의원

    최근 5년간 전국 원전에서 발생한 화재 때마다 주민 알림 문자가 수 시간 늦게 발송된 것으로 드러났습니다.

    일부 화재는 다음날에야 문자가 전송돼, 재난 대응 체계가 사실상 유명무실하다는 지적이 나왔습니다.
    원전 화재 통보 최대 12시간 37분, 문자 알림은 20시간 '지연'
    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 조인철 의원(더불어민주당·광주 서구갑)이 원자력안전위원회와 한국수력원자력으로부터 받은 자료에 따르면, 최근 5년간(2021~2025년) 전국 5개 원전에서 발생한 화재의 주민 통보가 최대 20시간 12분 지연됐습니다.

    민간감시기구 통보 역시 최대 12시간 37분 뒤에야 전달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올해 발생한 한빛 5호기 화재는 사고 발생 후 다음 날 오후에서야 주민들에게 알림 문자가 전송됐습니다.
    "완진 후 문자 받아..실질적 재난 대응 무용지물"
    현재 한수원은 원전에서 화재가 발생할 경우, 지역주민으로 구성된 '민간환경감시기구'에 통보하고, 'SMS 알리미' 서비스를 신청한 주민에게만 재난 정보를 문자로 발송합니다.

    그러나 대부분의 경우 이미 화재가 진화된 뒤 문자 발송이 이뤄져, 조기 대피에는 아무런 도움이 되지 않았습니다.

    조 의원은 "원전은 단순 화재로도 원자로 정지나 폭발 사고로 이어질 수 있는 고위험 시설"이라며 "완진 후에야 문자를 받는 게 무슨 의미가 있느냐"고 질타했습니다.

    그는 "사고 즉시 주민에게 알리도록 법령이나 고시에 명문화해야 한다"고 강조했습니다.
    주민 알림체계 유명무실..신청자 2,755명뿐
    문제는 주민 대상 알림체계가 신청제 기반이라는 점입니다.

    현재 한수원 'SMS 알리미' 서비스 신청자는 전국 5개 원전 지역(영광·기장·울주·경주·울진)을 통틀어 2,755명에 불과합니다.

    약 64만 명의 원전 인근 주민 중 0.4% 수준만 정보를 받을 수 있는 셈입니다.

    조 의원은 "원전이 위치한 지역 주민이 불안 속에 살고 있는데, 정작 알림 시스템은 사실상 작동하지 않는다"며 "정부가 주민 대상 자동 통보 시스템을 구축해야 한다"고 촉구했습니다.

    댓글

    (0)
    ※ 댓글 작성시 상대방에 대한 배려와 책임을 담아 깨끗한 댓글 환경에 동참에 주세요.
    0 / 300

    많이 본 기사

    랭킹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