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신정훈 "쌀과 한우 지켜냈다...실용 외교의 결실"
'그들만의 리그', '싸움만 하는 국회', '일하지 않는 국회의원'. 대한민국 국회에 부정적인 이미지가 씌워진 배경에는 충분한 정보를 전달하지 못하는 언론, 관심을 두지 않는 유권자의 책임도 있습니다. 내 손으로 직접 뽑은 우리 지역구 국회의원, 우리 지역과 관련된 정책을 고민하는 국회의원들의 소식을 의정 활동을 중심으로 직접 전해 국회와 유권자 간의 소통을 돕고 오해를 줄이는 데 도움이 되고자 합니다. <편집자 주>
한미 관세협상에서 쌀과 소고기 시장에 대한 추가 개방이 없었다는 소식이 전해지며 농도 전남 지역구 의원들도 환영의 입장을 냈습니다.
더불어민주당 신정훈 행정안전위원장(전남 나주시화순군)은 31일 입장문을 통해 "누군가는 숫자로, 누군가는 이해득실로, 누군가는 협상카드로 만지작거리던 쌀과 한우를 우리는 끝내 지켜냈다"고 강조했습니다.
그러면서 "미국의 강압적 요구와 보수 언론의 선동, 정부 내부의 고심까지 녹록지 않은 상황 속에서도 농업은 협상의 카드가 될 수 없다는 신념 하나로 버티고 싸웠다"고 설명했습니다.
신 위원장은 "이번 협상은 승리라기보다 농민을 위한 최소한의 예의이자 국민주권 정부의 책임"이라며 "쌀과 한우를 지켜낸 건 단순한 품목이 아니라 우리 국민의 밥상과 공동체의 안심, 국가의 자존"이라고 강조했습니다.
신 위원장은 또 "한 농민이 미 대사관 앞 농성장에서 건넨 '지켜줘서 고맙다'는 짧은 한마디에 눈시울이 뜨거워졌다"며 "이는 이재명 정부가 외교무대 첫 등판에서 트럼프 행정부의 폭력적 개방 압력에 맞서 식량주권과 산업의 영토를 지켜낸 실용외교의 결실"이라고 평가했습니다.
끝으로 그는 "앞으로도 농업과 국민의 삶이 협상 테이블에서 소외되지 않도록 통상·외교의 최전선에서 농민과 국민을 지켜내는 정치를 이어가겠다"고 덧붙였습니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