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일 여신금융협회에 따르면 9개 카드사(롯데·BC·삼성·신한·우리·하나·현대·KB국민·NH농협카드)의 3월 카드론 금리 평균은 연 14.83%로, 지난 2월말(14.64%) 대비 약 0.19%p 올랐습니다.
이는 지난해 3월(14.46%) 대비해서는 0.37%p 오른 것으로, 2022년 12월(14.84%) 수준에 육박한다.
지난해 10월과 11월 2회 연속으로 기준금리가 인하됐음에도 카드론 금리 상승이 지속되면서 특히 저신용자 등 취약차주의 이자 부담은 커지고 있습니다.
지난해 3월과 올해 3월 900점 초과 고신용자의 카드론 평균 금리는 11.89%로 동일했으나, 700점 이하 저신용자의 평균 금리는 같은 기간 17.34%에서 17.66%로 0.32%p 올랐습니다.
카드론 이용자의 절반 이상은 금융사 3곳 이상에서 중복으로 대출받은 다중 채무자이고, 카드론 문턱이 높아질 경우 저신용자가 제도권 밖의 대출로 밀려날 수 있다는 점도 우려를 키웁니다.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지난해 카드 대금, 할부금, 리볼빙, 카드론, 신용대출 등의 1개월 이상 연체율을 뜻하는 카드사의 연체율은 1.65%로 전년 말(1.63%) 대비 0.02%p 상승해 2014년(1.69%) 이후 10년 만에 최고치를 기록했습니다.
카드사들은 금융당국의 가계대출 규제로 공급 규모를 조절하고 있다는 입장입니다.
금융당국은 가계대출 증가세 둔화를 위해 카드사에도 올해 카드론 증가율을 3∼5% 내외에서 관리하도록 했습니다.
한 카드사 관계자는 "금융당국의 규제에 맞춰 카드론 잔액을 관리하기 위해서는 금리를 높이는 수밖에 없다"며 "당분간은 금리를 크게 인하하지 못하고, 취급액도 늘리지 못할 것 같다"고 말했습니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