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앵커멘트 】
장삿속으로 전락한 지역 대학들의 외국인 유학생 유치 실태, 연속 보도해드리고 있는데요.
교육부가 관리·감독 책임을 대학 측에 떠넘기면서 부족한 재정을 채우는 수단으로 변질되도록 방치했다는 비판이 나옵니다.
정의진 기잡니다.
【 기자 】
한국교육개발원에서 내놓은 대학의 국제화 전략 보고서입니다.
대학들이 재정적 어려움을 타개하려는 미봉책으로 사용한다,
정부의 획일적인 정책이 상당한 부작용을 초래할 수 있다는 우려가 담겨있습니다//
▶ 싱크 : 교육부 관계자
- "유학생 관리 능력인데, 불법체류율이 낮다거나, 중도탈락율이 낮다거나.. 그런 부분이에요. (유학생 사전검증은)대학이 스스로 자율적으로 노력을 해야되는 부분이겠죠"
이런 상황에서 교육부는 최근 외국인 유학생 입학 문턱마저 낮췄습니다.
어학연수생에겐 따로 언어능력을 요구하지도 않습니다//
입학 기준 완화 이후 외국인 유학생의 불법체류율은 눈에 띄게 급증했습니다.
▶ 싱크 : 대학 관계자
- "당혹스럽죠 사실, 우리 뿐 아니라 일선 대학들한테 무조건 점수를 깎는다고. 그러면 이제 유학생을 못 받아. 우리로서는 또 어쩔 수 없지 그런 부분들은, 최대한 맞춰야되는 상황이고."
외국인 유학생을 늘리기 위한 정책만 가득하고, 관리·감독은 외면하는 교육부.
사실상 외국인 유학생 유치 사업이 대학의 장삿속으로 변질되도록 부추겼다는 지적을 면키 어려워 보입니다. kbc 정의진입니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