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반 고기반' 이색 고기잡이 가래치기

    작성 : 2017-12-12 18:50:25

    【 앵커멘트 】
    '가래치기' 라고 들어 보셨을까요?

    농사철이 끝난 뒤 저수지의 물을 빼고
    가래라는 도구로 물고기를 잡는 전통 방식인데요, 이색적인 현장을 이동근 기자가 다녀왔습니다.

    【 기자 】
    바닥을 드러낸 농촌 마을의 한 저수지.

    허리춤까지 낮아진 저수지에서
    주민들이 대나무로 만든 어구를 들고
    고기잡이가 한창입니다.

    ▶ 스탠딩 : 이동근
    - "이렇게 대나무를 모자처럼 엮은 통발을 가래라고 부릅니다. 이 가래로 물고기를 잡는 전통 어업방식이 가래치깁니다."

    물속으로 가래를 들었다 놨다를 반복하자
    진흙 속에 숨었던 고기들이 모습을 드러냅니다.

    어른 팔뚝보다 굵은 붕어며 가물치가 줄줄이
    올라 옵니다.

    고기를 잡아 올릴 때마다 저수지 곳곳에서 환호성이 터지고 둑 위에서 지켜보던 구경꾼들도 덩달아 신이 납니다.

    *이팩트
    "와아"

    ▶ 인터뷰 : 나종태 / 가래치기 참가자
    - "고기가 이렇게 들어오면 진흙 속으로 들어 가려고 몸부림 치거든요 그 때 쾌감이 참 좋습니다, 재밌습니다"

    전통 어업 방식인 가래치기는 예부터
    가을걷이를 끝낸 이후 저수지를 정비하는 과정에서 시작됐습니다.

    풍년 농사에 감사하며 마을 주민들이 고기를 함께 나누는 훈훈한 풍습입니다.

    ▶ 인터뷰 : 강옥희 / 강진군 병영면
    - "이웃간에 돈독하게 하기 위해서 마을 잔치도 하고 이웃 마을 사람들도 오셔서 식사도 하시고"

    인구 감소와 고령화로 보기 힘든 풍경이 돼버린
    가래치기가 오랜만에 옛 추억을 되살려 주고 있습니다.

    kbc 이동근입니다.


    댓글

    (0)
    ※ 댓글 작성시 상대방에 대한 배려와 책임을 담아 깨끗한 댓글 환경에 동참에 주세요.
    0 / 300

    많이 본 기사

    랭킹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