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탐사-in]전남 해수욕장 안전, 여전히 '뒷전'

    작성 : 2016-08-01 05:40:26

    【 앵커멘트 】
    본격적인 휴가철을 맞아 해수욕장을 찾는 피서객들이 늘고 있는데요.. 세월호 사고 이후, 충분한 준비나 대책 없이 해수욕장 관리가 지자체로 옮겨지면서, 지난해 수난사고 사망자가 2배 이상 늘었습니다.

    그로부터 1년이 지났지만, 여전히 달라진게 없어, 올해도 해수욕장 안전에 대한 우려가 커지고 있습니다. 이동근 기자가 탐사 취재했습니다.

    【 기자 】
    지난해 8월 신안 증도의 한 해수욕장에서
    중학생이 파도에 휩쓸려 실종됐다 숨진채 발견됐습니다.

    해변에 민간 안전요원이 있었지만
    구조는 이뤄지지 못했고, 뒤늦게 주민과 해경의
    수색 끝에 싸늘한 시신으로 발견됐습니다.

    ▶ 인터뷰 : 조민호 / 최초 발견자
    - "구조 중에 까만게 밀려와서 뛰어가서 건져보니 이미 의식이 없었습니다"

    1년 만에 사고가 났던 해수욕장을 다시 찾아가 봤습니다.

    하지만 지난해와 달라진 게 없습니다.
    안전요원 대부분이
    현장 경험이 없는 대학생들이거나
    자격증 조차 없는 사람을 데려다 놨습니다.

    ▶ 싱크 : 민간 안전요원
    - "학교에 공문이 날라와서 교수님이 가라고 해서 자격증 있는 사람도 있고 없는 사람도 있고"

    상인이나 피서객 모두 불안감이 이만저만이 아닙니다.

    ▶ 싱크 : 해수욕장 상인
    - "대학생들이 왔는데 공부하다 와서 뭐가 되겠어요"

    ▶ 인터뷰 : 이미향 / 피서객
    - "불안하죠 전문가가 하지 않으면 아르바이트면 전문적으로 교육을 받지 않았으니까 아이들 맡기기에는 "

    <준비없이 등떠민 정부>

    세월호 사고 이후 정부는 해경이 맡던
    해수욕장 안전관리를 지자체로 이관시켰습니다.


    2년 전 240명이던 해경의 안전요원은
    시행 첫 해인 지난해 1/4로 줄었고,
    올해 20명이 더 줄었습니다.

    인력과 장비 지원도 없는 상황에서
    예산마저 지자체에 떠넘긴 겁니다.

    ▶ 싱크 : 지자체 관계자
    - "저희들이 안전관리를 하기에는 일단 전문성이 부족하고 해경보다 어렵죠, 예산 부담도 마찬가지고"

    <'2년 째 변명만' 지자체 준비 부족>

    정부탓만 하는 지자체도 문젭니다.

    늦은 밤 완도의 한 해수욕장.

    안전사고를 우려해 저녁 7시 이후에는
    해수욕장 출입을 금지하고 있지만,
    피서객을 통제하거나 해변 순찰은
    전혀 이뤄지지 않고 있습니다.

    ▶ 스탠딩 : 이동근
    - "이곳 해수욕장은 저녁 7시부터 입욕이 금지돼 있습니다. 야간이 되면 보시는 것처럼 곳곳에서 술판이 벌어지고 술에 취한 피서객들이 바다로 들어가는 일이 종종 있지만 사실상 안전은 무방비 상탭니다."

    <안전체계 허술, 인력*장비 부실>

    지자체가 운영하는 안전 상황실은
    사고 대응 능력이 사실상 전무합니다.

    ▶ 싱크 : 해수욕장 근무 공무원
    - "Q.해변에 CCTV 없나요? A.없는 것으로 알고 있어요. Q.신고가 들어와야 알 수 있나요? A.네 그럴 수 밖에 없죠, 현 시스템에서는"

    안전 요원도 형식적입니다.

    대학에 갓 입학한 새내기 여학생 3명을
    안전요원이라고 배치해 놨는데,
    이 마저도 자리에 없기 일쑵니다.

    ▶ 싱크 : 야간 민간 안전요원
    - "A.(안전 요원은)처음으로 와 봤구요 Q.교수님 통해서 친구들하구요? 두 명은 어디갔어요? A.잠깐 산책나갔어요 "

    이동 파출소를 운영하는 경찰도 순찰 근무를
    뒤로 한채 단잠에 빠져 있습니다.

    ▶ 싱크 : 이동파출소 근무자
    - "Q.직원분들 안 계세요? 순찰 안 하세요? A.저녁에 한 번씩 하기는 하는데"

    <'안전 무방비' 섬 해수욕장>

    접근성이 떨어져 보다 세심한 안전대책이 필요한 섬 지역 해수욕장의 상황은 더 심각합니다.

    20여 곳 중 아예 안전요원이 없는 곳이 태반이고, 의료와 소방시설이 없는 곳도 있습니다.

    ▶ 스탠딩 : 이동근
    - "당초 이곳에는 2명의 민간 구조요원을 배치하도록 돼 있었는데 자격증을 보유한 인력을 구하지 못해서 주민들이 대체하고 있습니다. 지금이 점심 시간 무렵이라 피서객들이 점차 늘고 있지만 그 주민들조차 보이지 않고 있습니다."

    ▶ 싱크 : 지자체 관계자
    - "A.올해는 못 구했습니다. Q.작년에는 어땠어요? A.작년에도 못 구했습니다. Q.(안전요원)그분들 어디 가셨어요? A.지금 식사 시간이라.. "

    <탁상행정에 안전 뒷전>

    지자체가 처음 안전관리를 맡았던 지난해
    전남의 해수욕장 수난 사고 사망자는 7명으로 해경이 관리하던 2014년보다 두 배 이상 늘었습니다.


    하지만 올해도 전남 54개 해수욕장에 배치된 민간 안전요원은 254명 중 40% 가량이
    수상안전 관련 자격증이 없습니다.

    ▶ 싱크 : 전남도 관계자
    - "Q.인력 풀 구성을 안 했나요? A.중앙 부처에서 인식은 했는데 안된 상태여서 저희도 백방으로 노력은 했는데"

    명품 해수욕장이라며 적극적인 피서객 유치에 나서고 있는 전라남도와 시군들...
    하지만 가장 중요한 안전에는 정부와 예산 탓만 하며 손을 놓고 있습니다. kbc 이동근입니다.

    댓글

    (0)
    ※ 댓글 작성시 상대방에 대한 배려와 책임을 담아 깨끗한 댓글 환경에 동참에 주세요.
    0 / 300

    많이 본 기사

    랭킹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