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 전세 찾기 힘들어요" [광주·전남 부동산 바로보기]

    작성 : 2025-09-26 17:29:14
    수급지수 174...광역시 중 두 번째 높아
    9월 들어 전세가격도 꾸준한 상승세
    아파트 매매가격은 72주째 하락세
    ▲ 시도별 아파트 전세가격지수 변동률 [한국부동산원]

    집값은 우리 생활과 가장 가까운 경제 이슈입니다. 매주, 매달 오르내리는 가격은 단순한 숫자를 넘어 우리 삶의 무게와 직결돼 있습니다. '광주·전남 부동산 바로보기'는 전국 흐름 속에서 우리 동네 집값과 주요 부동산시장이 어떤 움직임을 보이는지 차근차근 짚어보는 기획입니다. 데이터 분석은 물론 현장 취재와 전문가 진단을 곁들여 디지털 독자들이 지역 부동산 시장을 균형 있게 이해할 수 있도록 돕겠습니다. <편집자 주> 

    결혼을 앞둔 고 모 씨는 지난해 12월부터 신혼집을 마련하기 위해 여러 공인중개사무소를 찾았지만 전세 물건이 없어 골머리를 앓았습니다.

    다행히 지난 2월 광주 동구 G아파트 25평을 2억 8천만 원에 간신히 구했습니다. 

    고 모 씨는 "몇 개월 동안 여러 곳의 공인중개 사무소를 방문했지만 매매 물건은 많은데 전세 물량은 거의 없었다. 특히 전세 가격도 생각했던 것보다 훨씬 높았다"며 "우리 아파트 매매가와 전세가의 차이는 6천만 원밖에 나지 않는다"고 말했습니다.  

    광주지역 아파트 매매가격은 72주째 하락세를 이어가고 있지만 전세가격은 상승세를 지속해 대조를 보이고 있습니다.

    한국부동산이 발표한 올해 9월 4주(22일 기준) 전국 주간 아파트 가격 동향에 따르면 전국 아파트 매매가격은 전주에 비해 0.03% 올랐고, 전세가격도 0.04% 상승했습니다.

    광주 아파트 매매가격은 전주에 비해 0.03% 떨어져 지난해 3월 25일 이후 72주 연속 하락했습니다.

    올해 누계 기준으로 -1.93% 떨어졌습니다.

    반면 전세가격은 9월 들어 상승세를 이어가고 있습니다.

    9월 1일 0.02%, 8일 0.02%, 15일 0.01%에 이어 22일에는 0.03% 올랐습니다.

    KB국민은행 'KB부동산'이 발표한 주간KB아파트시장동향에서도 비슷한 흐름을 보였습니다.

    지난주(9월 8일) 대비 광주 아파트 전세가격은 전주에 비해 0.02% 올랐습니다.

    특히 전세수급지수는 174.1로 5대 광역시 가운데 울산(190.2)에 이어 두 번째로 높았습니다.

    전세수급지수는 기준점 100을 초과하면 전세를 찾는 수요가 공급을 앞지른 것으로 그만큼 전세 수급 불균형이 심각하다는 의미입니다.

    광주 북구 A공인중개사무소 심모 대표는 "최근 들어 전세로 나온 물량이 거의 없다"며 "주택경기 침체로 매수자들이 관망세로 돌아서고 전세자들도 연장 선택을 하는 등 이동 자체가 크게 줄어들면서 전세 수요가 늘고 가격도 상승한 것 같다"고 분석했습니다.

    댓글

    (0)
    ※ 댓글 작성시 상대방에 대한 배려와 책임을 담아 깨끗한 댓글 환경에 동참에 주세요.
    0 / 300

    많이 본 기사

    랭킹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