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스마트폰 앱을 통해 기존에 받은 신용대출을 보다 유리한 조건으로 한 번에 갈아탈 수 있는 대환대출 플랫폼이 등장한 겁니다.
대출 갈아타기가 가능한 앱은 크게 대출 비교 플랫폼 앱(네이버페이, 뱅크샐러드, 카카오페이, 토스, 핀다 등)과 주요 금융회사 앱(NH농협은행, 신한은행, 우리은행. KB국민은행, 하나은행 등) 등 2가지가 있습니다.
특히 대출 비교 플랫폼에서는 기존에 받은 대출 금리뿐 아니라 갈아탈 수 있는 여러 금융회사의 대출 상품을 한꺼번에 조회할 수 있습니다.
유리한 조건의 대출 상품이 있다면 해당 금융회사 앱으로 이동해 새로운 대출을 실행하면 되며, 기존 대출금은 금융결제원 망을 통해 자동 상환됩니다.
앱을 설치하는 것부터 새 대출 계약을 완료하기까지 소요되는 시간은 대략 15분 남짓이 될 것으로 보입니다.
대환대출 서비스는 은행 영업시간인 영업일 오전 9시부터 오후 4시까지 이용할 수 있으며 이용 횟수 제한은 없습니다.
플랫폼이나 금융회사 앱에서 대출 조건을 반복 조회해도 신용점수에 영향이 없기 때문에 최대한 꼼꼼하게 따져본 뒤 유리한 조건의 상품을 선택하면 됩니다.
업계에서는 연간 10조∼11조 원을 대환대출 시장 규모로 추산하고 있습니다.
한편, 금융당국은 은행권 등과 협의를 통해 대출금 규모가 큰 주택담보대출(주담대)을 대상으로 하는 대환대출 인프라도 연내 구축할 예정입니다.
금융위는 “운영 초기 관심이 집중될 것에 대비하여 서버, 트래픽 관리 및 일시적인 지연 현상에 대해서도 경각심을 갖고 대응해 나가겠다”고 밝혔습니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