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피스텔 거주자 상수도 요금 제각각

    작성 : 2016-09-07 17:05:40

    【 앵커멘트 】
    주거용 오피스텔 거주자들의 수도 요금이 제각각인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같은 오피스텔에 거주하면서도 남들보다 배 이상 비싼 수도 요금을 내는 세대가 있습니다.
    어떤 사정인지 송도훈 기자가 전해드립니다.

    【 기자 】
    전남도청이 위치한 무안군 삼향읍 남악지구입니다.

    이 곳 오피스텔에 혼자 거주하는 A씨에게
    지난달 부과된 수도요금은 3톤 사용에 2,280원.

    그런데 같은 양을 쓴 이웃 오피스텔의 B씨에게는 4,010원이 부과됐습니다.

    똑같은 양을 쓰고도 요금 차이는 76%나 됩니다.

    (CG1)
    A씨는 톤당 630원인 가정용 수도요금이 부과됐고,B씨는 배 이상 비싼 일반용 요금이 적용됐기 때문입니다.

    심지어 같은 오피스텔에서도 가정용 요금을 내는 세대와 비싼 일반용 요금을 내는 세대가 뒤섞여 있습니다.

    (CG2)
    남악지구의 대표적인 오피스텔을 조사해봤더니 전체의 70%가 가정용보다 배 이상 비싼 일반용 요금을 내고 있습니다.

    그런데 이런 사실을 세입자는 물론이고 관리사무소조차도 잘 알지 못하고 있었습니다.

    ▶ 인터뷰 : 정회영 / 오피스텔 거주자
    - "상이하다는 것을 어떤 방식으로든 안내를 해서 동일한 혜택을 받을 수 있도록 해줘야 하는 것이 관리사무소에서 해야 할 일이라고 봐요 "

    이처럼 수도요금이 제각각인 것은 무안군이 오피스텔 거주자 중에서 전입신고와 가구 분할 신청을 한 세대에 대해서만 가정용 요금을 적용해주고 있기 때문입니다.

    ▶ 싱크 : 무안군 상하수도사업소 관계자
    - "그러니까 이제 전입세대 기준에 한해서 가구 분할 신청하시면 가정용 15톤까지는 가정용 부과를 해드리는거죠"

    가구분할신청을 할 경우에만 가정용 요금을 적용해주겠다는 것으로 전형적인 행정편의주의라는 지적입니다.

    집을 떠나 근무지 주변에서 생활하는 직장인과 영세 서민들의 주거공간인 오피스텔의 수도요금 부과 체계를 수용자 중심으로 적극 개선해야 한다는 지적입니다. kbc송도훈입니다





    댓글

    (0)
    ※ 댓글 작성시 상대방에 대한 배려와 책임을 담아 깨끗한 댓글 환경에 동참에 주세요.
    0 / 300

    많이 본 기사

    랭킹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