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선 경선 후보가 호남 순회 경선 마지막 일정으로 전남을 방문해 농가소득 보호를 중심으로 한 정책 대안 등 개혁 방향을 제시했습니다.
이 후보는 25일 오전 전남 나주 소재 전남농업기술원(창농타운센터 1층)에서 열린 '미래농업 전초기지 호남 농업과학기술진흥 간담회'에 참석했습니다.
이 자리에선 농도 전남이 처한 어려운 농촌 현실과 이를 개선하기 위한 정책과 대안 등이 논의됐습니다.
특히 'AI기술을 접목한 농업기술의 전환', '쌀 가격 급락에 따른 농업 붕괴를 막기 위한 양곡관리법 개정 필요성', '기후 위기로 인한 농업환경의 변화' 등이 집중 조명됐습니다.
이재명 후보는 "최근 일본 관광객들이 국내산 쌀을 사 가고 있다는 보도를 본 적 있다"며 "향후 이러한 사태가 빈번할 가능성이 높다"고 말했습니다.
이어 "농업은 국가 안보 산업이면서 전략 산업이다. 최근 쌀값 때문에 전남을 포함한 전국 농가들이 고생을 하고 있다"며 "일시적인 생산 과잉 문제로 인해 혹시라도 쌀 생산 시스템이 파괴되는 일이 생기지 않게 하는 게 정부가 할 일인데, 어려움이 있다"고 지적했습니다.
그는 또 "기후변화와 농업 재해 등도 빈번해지고 있다"며 "농촌소멸 위기를 비롯해, 수급 불안 등 산지 가격의 붕괴 등 여러 구조적 문제가 복합돼 있다. 결국 이러한 부분들은 정부 기능이 작동되지 않아서 생긴 문제"라고 꼬집었습니다.
이 후보는 "더불어민주당은 쌀값을 안정화하고 농촌을 보호하기 위해 양곡관리법 개정과 축산 산업 보호 등 각종 정책을 추진했지만, 대통령과 권한대행들의 거부권으로 진척을 보지 못했다"며 "농업이 후퇴하거나 위기를 겪지 않도록 많을 노력을 기울이겠다"고 강조했습니다.
이 후보는 이날 자신의 페이스북을 통해 K 농업 강국 도약을 위한 공약으로 '실질적인 재해보상 규정 정립', '스마트농업 확대', '태양광 발전 통한 햇빛연금 확대', '선진국형 농가소득 안전망 구축', '양곡관리법 개정 통한 쌀값 안정' 등 세부안을 제시했습니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