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날짜선택
    • 8뉴스 전체보기
      ..
      2018-01-07
    • 호남대 쌍촌캠퍼스 아파트, 설계 공모한다
      호남대 쌍촌캠퍼스 땅에 설계 공모 아파트 단지가 들어섭니다. 광주시는 지역에선 최초로 호남대 쌍촌캠퍼스 아파트 건립사업에 건축물 디자인 향상을 위한 설계 공모제를 도입해 아파트 단지를 조성할 계획입니다. 광주 도심 속 마지막 노른자위 땅으로 평가받는 쌍촌캠퍼스는 이르면 내년 하반기에 아파트 착공이 이뤄질 예정입니다.
      2018-01-07
    • "광주 119구급대, 지난해 8분마다 출동"
      지난해 광주지역 119구급대는 8분에 한 번 꼴로 출동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광주시 소방안전본부에 따르면 지난해 광주 119구급대는 6만 5천2백여 차례 출동으로 4만 6천 4백여 명을 이송해 하루 평균 178.7건, 8분마다 출동한 것으로 집계됐습니다. 유형별로는 질병 환자가 61.5%로 가장 많았고 사고로 인한 부상과 교통사고가 뒤를 이었습니다.
      2018-01-07
    • "광주 119구급대, 지난해 8분마다 출동"
      지난해 광주지역 119구급대는 8분에 한 번 꼴로 출동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광주시 소방안전본부에 따르면 지난해 광주 119구급대는 6만 5천2백여 차례 출동으로 4만 6천 4백여 명을 이송해 하루 평균 178.7건, 8분마다 출동한 것으로 집계됐습니다. 유형별로는 질병 환자가 61.5%로 가장 많았고 사고로 인한 부상과 교통사고가 뒤를 이었습니다.
      2018-01-07
    • "광주 119구급대, 지난해 8분마다 출동"
      지난해 광주지역 119구급대는 8분에 한 번 꼴로 출동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광주시 소방안전본부에 따르면 지난해 광주 119구급대는 6만 5천2백여 차례 출동으로 4만 6천 4백여 명을 이송해 하루 평균 178.7건, 8분마다 출동한 것으로 집계됐습니다. 유형별로는 질병 환자가 61.5%로 가장 많았고 사고로 인한 부상과 교통사고가 뒤를 이었습니다.
      2018-01-07
    • 새꼬막 70% 폐사 '귀하신 몸'
      【 앵커멘트 】 전국 최대의 새꼬막 주산지인 여수에서 새꼬막 채취가 본격적으로 시작됐습니다. 하지만 2년 연속, 작황 부진을 보이면서 어민들이 울상을 짓고 있습니다. 박승현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 기자 】 배 갑판에 막 채취한 새꼬막이 가득합니다. 그런데 만선의 기쁨을 누려야 할 어민들의 표정이 그리 밝지 않습니다. 속살이 제대로 여물지 않았거나 아예 통째로 사라져 껍데기만 남은 새꼬막이 많아섭니다. ▶ 인터뷰 : 박상원 / 새꼬막 채취 어민 -
      2018-01-07
    • 여수 새꼬막 작황 부진..값 껑충
      【 앵커멘트 】 전국 최대의 새꼬막 주산지인 여수에서 새꼬막 채취가 본격적으로 시작됐습니다. 하지만 2년 연속, 작황 부진을 보이면서 어민들이 울상을 짓고 있습니다. 박승현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 기자 】 배 갑판에 막 채취한 새꼬막이 가득합니다. 그런데 만선의 기쁨을 누려야 할 어민들의 표정이 그리 밝지 않습니다. 속살이 제대로 여물지 않았거나 아예 통째로 사라져 껍데기만 남은 새꼬막이 많아섭니다. ▶ 인터뷰 : 박상원 / 새꼬막 채취 어민 -
      2018-01-07
    • 여수 새꼬막 작황 부진..값 껑충
      【 앵커멘트 】 전국 최대의 새꼬막 주산지인 여수에서 새꼬막 채취가 본격적으로 시작됐습니다. 하지만 2년 연속, 작황 부진을 보이면서 어민들이 울상을 짓고 있습니다. 박승현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 기자 】 배 갑판에 막 채취한 새꼬막이 가득합니다. 그런데 만선의 기쁨을 누려야 할 어민들의 표정이 그리 밝지 않습니다. 속살이 제대로 여물지 않았거나 아예 통째로 사라져 껍데기만 남은 새꼬막이 많아섭니다. ▶ 인터뷰 : 박상원 / 새꼬막 채취 어민 -
      2018-01-07
    • 신나는 겨울 방학..곳곳이 놀이터
      【 앵커멘트 】 분주했던 연말연시가 지나고, 새해 첫 주말을 맞아, 야외 스케이트장과 실내 체험공간 등은 어린이 손님들로 붐볐습니다. 벌써부터 긴 겨울방학을 어떻게 보낼 지 고민하는 부모님들 많으실 텐테요.. 조금만 둘러보면 실마리를 찾을 수 있습니다. 신민지 기잡니다. 【 기자 】 기역자로 꺾인 플라스틱 블록과 나무 젠가. 알록달록 갖가지 색상의 블럭으로 자신만의 공간을 쌓아 나가는 아이들의 표정이 사뭇 진지합니다.// 화려한 가마를 탄 왕과 왕후의 혼례식 행렬도.
      2018-01-06
    • 전남대 6월민주항쟁동지회, 영화 '1987' 단체관람
      전남대 6월민주항쟁동지회가 시민과 학생을 초청해 영화 '1987'을 단체 관람했습니다. 1987년 6월 민주항쟁에 직접 참여했던 전남대 학생들을 중심으로 결성된 동지회는 광주의 한 극장에서 시민과 학생 150명을 초청해 함께 영화 '1987'을 봤습니다. 이번 관람은 6월 항쟁에 관한 영화를 통해 6월항쟁 세대와 촛불혁명 세대가 서로 공감하자는 취지에서 마련됐습니다.
      2018-01-06
    • 조선대 1*8항쟁 30주년 기념문화제 열려
      조선대학교가 민립대학의 설립 역사를 되찾고 대학의 민주화를 이룩한 1*8항쟁 30주년을 맞아 기념문화제를 열었습니다. 기념문화제에서는 1*8 항쟁의 성과 과제 등에 대해 당시 양심선언 교수와 학생, 현재 재학생 등이 함께 하는 토크 콘서트와 풍물패 공연 등이 펼쳐졌습니다. 1*8항쟁은 1987년부터 88년까지 조선대에서 일어난 대학개혁운동이자 학원민주화운동으로, 2007년 부터 기념행사를 갖고 있는데, 기념식은 오는 8일 1*8 민주대상 시상식과 함께 열립니다.
      2018-01-06
    • "5*18 정체성 근거한 문화전당장 선임해야"
      광주지역 문화예술*시민단체들이 국립아시아문화전당장을 5*18 정체성에 근거해 선임해야 한다고 촉구했습니다. 민예총 등 광주지역 시민 사회단체들은 성명을 내고, 논란이 됐던 문화전당장 선임 절차를 잠정 보류하기로 한 문체부의 결정을 환영한다며, 5*18 정체성에 근거한 아시아문화전당장 선임 자격 기준을 재정립해서 조기에 정상화해야 한다고 강조했습니다. 또 현 단계에서 옛 도청 공간의 복원을 어떻게 재현할 것인지에 대해 시민사회와 함께 지혜를 모으는 장을 마련할 것을 제안했습니다.
      2018-01-06
    • AI 방지 위해 축사 이전*축종 전환 추진
      AI 발생을 최소화하기 위해 가금 밀집사육지역 축사 이전이 추진됩니다. 전라남도는 야생조류 등에서 AI 바이러스가 검출되거나 AI가 발생한 시군 등 가금을 밀집해 사육하는 AI 중점방역관리지구 11개 시군, 49개 읍면동에 대해 지역단위 축산 개편 사업을 추진합니다. 가금 농가간 거리 500m와 철새도래지에서 3km 밖으로 축사를 이전하거나 다른 축종으로 변경할 경우 신축*개보수 비용의 80%, 최대 36억원까지 지원하게 되는데, 희망 농가는 오는 15일까지 해당 지역 시군에 신청하면 됩니다.
      2018-01-06
    • 전남도, 5월부터 민주화운동 관련자 생계비 지원
      전라남도가 오는 5월부터 민주화운동 관련자와 유가족을 위한 생계지원비를 지급합니다. 최근 제정한 전남 민주화운동 관련자 예우 및 지원에 관한 조례에 따라, 도시근로자 가구당 월평균 소득액의 130% 이하인 민주화운동 관련 가구에 월 13만원이 지급됩니다. 전남에 주민등록을 두고 실제 거주하는 민주화운동 관련자 가운데 사망자와 행방불명자, 상이자, 해직자 등이 혜택을 받는데, 이달부터 읍면동에서 신청을 받습니다.
      2018-01-06

    랭킹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