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근태 관리"vs"인권침해"...'얼굴 인식기' 논란

    작성 : 2017-12-04 19:05:18

    【 앵커멘트 】

    길거리를 청소하는 노동자들의 근태 관리를
    위해 광주지역 일부 구청이 도입한 '얼굴 인식기'가 논란을 빚고 있습니다.

    당사자들은 충분한 논의없이 구청이 일방적으로강행된 것이라며 반발하고 있습니다.

    인권 침애 우려가 높다는 이유에섭니다.

    고우리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 기자 】
    광주 광산구의 한 주민센터에 설치된 '얼굴 인식기'입니다.

    지문 인식기처럼 화면에 얼굴을 비추면 출퇴근 시간이 기록됩니다.

    지난달 20일. 광산구청은 가로청소원의 근태관리를 위해 수완동, 송정동 등 4곳에 이 기기를 설치했습니다.

    하지만 당사자들이 반발하고 있습니다.

    구청 직원과 차별적인 조치이고, 충분한 논의없이 도입한 것은 인권 침해라는 겁니다.

    ▶ 인터뷰 : 이한석 / 광주전남자치단체공무직노조 위원장
    - "안면인식기나 지문인식기 자체를 반대합니다. 왜그러냐면 광산구청 1200 공직자 중 유독히 청소과에 있는 환경노동자만 한다는 것은 차별적이기 때문에.."

    논란이 커지면서 광산구청은 얼굴인식기 사용을 중단하고 가로청소원들과 논의해 해결책을 찾겠다고 밝혔습니다.

    ▶ 인터뷰 : 박희태 / 광산구청 청소행정과
    - "새로운 시스템을 도입하려 했습니다. 그러나 문제제기와 우려의 목소리가 커서 거기에 대한 것은 겸허히 받아들였습니다. 12월 중에 저희들이 청소노동자, 인권전문가 등을 모시고 사회적 합의를 통해서 문제를 푸는 것이 좋다는 결론을 내렸습니다."

    광산구청에 앞서 지난해 4월 얼굴인식기를 설치한 남구청 역시 얼굴인식기 사용을 전면 재검토하기로 결정했다고 밝혔습니다.

    얼굴 인식기에 대한 광주 일부 구청과 해당 노동자간 인식 차가 커 당분간 논란이 이어질 것으로 보입니다.

    KBC 고우립니다.

    댓글

    (0)
    ※ 댓글 작성시 상대방에 대한 배려와 책임을 담아 깨끗한 댓글 환경에 동참에 주세요.
    0 / 300

    많이 본 기사

    랭킹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