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尹 파면]탄핵·구속·하야..역대 대통령 수난사

    작성 : 2025-04-04 12:15:57
    ▲ 윤석열 전 대통령 [연합뉴스]

    윤석열 전 대통령이 4일 파면되면서 역대 대통령들의 수난사를 비껴가지 못했습니다.

    윤 전 대통령은 정치에 입문한 지 8개월여 만에 대권을 잡으며 초고속으로 정점에 올랐지만, 이날 헌법재판소의 탄핵소추 인용으로 임기를 2년 남기고 물러나게 됐습니다.

    윤 전 대통령은 12·3 비상계엄 선포 이후 11일 만에 탄핵소추안이 가결되면서 직무 정지된 데 이어 현직 대통령으로서는 헌정사상 처음으로 체포영장이 집행돼 구속되기도 했습니다.

    ▲ 박근혜 전 대통령

    앞서 박근혜 전 대통령은 헌정사상 처음으로 탄핵소추안이 인용돼 파면된 대통령으로 역사에 기록됐습니다.

    이후 박 전 대통령은 국정농단 사건으로 수사받다가 2017년 3월 31일 구속된 뒤 문재인 정부에서 특별사면을 받기까지 전직 대통령 가운데 최장기간인 1,736일(4년 9개월)간 수형 생활을 했습니다.

    ▲ 이명박 전 대통령 [연합뉴스]

    이명박 전 대통령은 2007년 대선 경선 중 불거진 다스·BBK 등 비리 의혹에 대한 검찰 수사가 재개되면서 퇴임한 후인 2018년 4월 9일 구속기소 됐습니다.

    이후 이 전 대통령은 보석 석방과 재구속 등을 거쳐 윤석열 정부에서 특별사면을 받기까지 958일(2년 8개월) 동안 수형 생활을 거쳤습니다.

    ▲ 수의 차림의 노태우(왼쪽), 전두환 전 대통령 [연합뉴스]

    전직 대통령 전두환·노태우도 12·12 군사 반란과 내란목적 살인, 비자금 혐의 등으로 법정에 섰습니다.

    육사 시절부터 친구 사이인 두 사람은 김영삼 정부에서 각각 사형과 무기징역을 선고받고 2년가량 복역하다 사면됐습니다.

    ▲ 전두환 전 대통령 [연합뉴스]

    전두환은 2017년 4월 발간한 회고록에 '5·18 당시 헬기 기총 소사는 없었던 만큼 조비오 신부가 헬기 사격을 목격했다는 것은 왜곡된 악의적 주장이다. 조 신부는 성직자라는 말이 무색한 파렴치한 거짓말쟁이다'라고 써 사자명예훼손 혐의로도 광주 법정에 섰습니다.

    역대 대통령 중 5명이 전·현직 시절 형사 법정에 선 겁니다.

    전·현직 대통령이 정치적 사건에 휘말려 서거하거나, 임기를 제대로 마치지 못하고 하야한 경우도 있었습니다.

    노무현 전 대통령은 퇴임 이후 '박연차 게이트'에 연루되면서 검찰 수사가 진행되던 중 서거했습니다.

    ▲ 박정희 전 대통령 [연합뉴스]

    박정희 전 대통령은 18년간 이어진 장기 집권 끝에 1979년 '10·26 사건'으로 눈을 감았습니다.

    초대 대통령인 이승만 전 대통령은 1960년 3·15 부정선거 이후 이어진 4·19 혁명으로 하야했고, 미국 하와이로 망명해 이국에서 생을 마감했습니다.

    이어 대통령직에 오른 윤보선 전 대통령도 5·16 군사 정변으로 하야했습니다.

    박정희 전 대통령 서거 이후 과도기를 이끌었던 최규하 전 대통령은 1980년 신군부 집권으로 8개월여 만에 하야했습니다.

    군사정권 시대를 마감하고 민주화 시대를 연 김영삼, 김대중 전 대통령은 재임 시절 아들이 구속되는 불운을 겪었습니다.

    ▲ 김영삼 전 대통령 [연합뉴스]

    김영삼 전 대통령의 차남 현철 씨는 1997년 한보 비리 사건에 연루돼 구속된 데 이어, 김 전 대통령 퇴임 후 2004년에도 조동만 전 한솔 부회장으로부터 불법 정치자금을 받은 혐의로 구속됐습니다.

    김대중 전 대통령은 임기 말 차남 홍업 씨와 3남 홍걸 씨가 기업체로부터 청탁 명목으로 금품을 수수한 혐의로 잇따라 구속되자 대국민 사과를 했습니다.

    댓글

    (0)
    ※ 댓글 작성시 상대방에 대한 배려와 책임을 담아 깨끗한 댓글 환경에 동참에 주세요.
    0 / 300

    많이 본 기사

    랭킹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