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가 23일 오전 9시 통화정책방향 회의를 엽니다.
현재 3.50%인 기준금리의 11번 연속 동결 가능성이 높습니다.
11회 연속 동결이 예상되는 가장 중요한 근거는 여전히 불안한 물가 흐름입니다.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올해 2월(3.1%)과 3월(3.1%) 3%대를 유지하다가 4월(2.9%) 석 달 만에 2%대로 내려왔습니다.
하지만 과일을 비롯한 농축수산물이 10.6%나 뛰는 등 2%대 안착을 확신할 수 없는 상태입니다.
김웅 한은 부총재보도 최근 물가 상황 점검회의에서 "앞으로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근원물가(에너지·식품 제외)를 중심으로 둔화하겠지만, 유가 추이나 농산물 가격 강세 기간 등과 관련한 불확실성이 큰 상황"이라고 진단했습니다.
미국 연방준비제도가 금리 인하에 신중한 모습을 보이는 점도 한은 금리 결정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전망됩니다.
크리스토퍼 월러 연준 이사는 현지시간 21일 CNBC와의 인터뷰에서 "물가 지표 둔화세가 3∼5개월 정도 지속돼야 연말께 금리 인하가 가능하다고 생각할 수 있다"고 밝혔습니다.
한은 입장에서는 미국과의 금리 격차와 1분기 경제성장률의 기대 이상 성과 등을 두고 볼 때 금리 인하를 서두르기는 어려울 것이란 시장의 전망도 이어지고 있습니다.
#한국은행 #금통위 #기준금리 #동결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