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광주시는 24일 시청 대회의실에서 전남대학교, 조선대학교-조선간호대학교와 함께 '2025 광주 특성화 지방대학(글로컬대학) 비전 선포식'을 개최했습니다.
이날 행사는 광주시와 올해 공모에 선정된 전남대와 조선대-조선간호대학이 손잡고 '인공지능+웰에이징 인재! 광주의 내일을 열다'를 주제로 공동 비전을 선언하는 자리로 마련됐습니다.
선포식에는 강기정 시장, 이정선 시교육감, 이근배 전남대학교 총장, 김춘성 조선대학교 총장, 박명희 조선간호대학교 총장, 조순계 조선이공대학교 총장, 기업인, 학생 등 400여 명이 참석했습니다.
비전선언문에는 △인공지능과 웰에이징 특화인재 양성 통한 미래 선도 △지역·대학·산업의 상생발전 혁신 생태계 구축 △글로벌 허브 중심지로의 도약 △모두가 성장하는 지역혁신의 새로운 표준모델 구축 등이 담겼습니다.
강 시장은 "사람을 키우는 것은 지방정부의 가장 중요한 역할 중 하나다. 지역에서 성장한 인재가 지역에서 일자리를 얻고, 정주하며 산업을 키우는 선순환 구조를 만들어 지역발전의 새 미래를 활짝 열겠다"고 밝혔습니다.
이근배 전남대 총장은 "전남대는 AI+X 융합교육과 글로벌 학습 환경을 확대하고 광주시의 'AI 수도' 비전과 연계해 지역의 AI 기반 산업전환을 선도하겠다"고 말했습니다.
김춘성 조선대학교 총장은 "전 생애 웰에이징 생태계를 구축해 지역경제에 활력을 불어넣고, 청년들이 정주할 수 있는 길을 넓히며 글로벌 무대에서도 경쟁력을 갖춘 인재로 성장할 수 있도록 국제 교육·연구 협력을 적극 확대하겠다"고 밝혔습니다.
전남대는 '인간중심 AI 융합 인재양성 교육·연구 혁신대학'을 비전으로, AI융합교육센터, AI융합연구원, 글로벌 공동연구소 설립 등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이를 통해 AI융합 인재 2만 명 양성, 창업기업 200개 육성, 유학생 5,000명 유치 등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조선대는 '웰에이징 아시아(Asia) 넘버원(No.1) 대학'을 비전으로, 웰에이징밸리 구축, 웰에이징 기술융합원, 글로벌 자회사 설립 등 웰에이징 특화인재 1만 명 양성, 기업 유치 및 창업기업 육성 200개, 글로벌 인재양성 5,000명 등을 목표로 추진 중입니다.
광주시는 5년간 4,700억 원의 예산을 투입해 정주형 교육, 좋은 일자리, 청년이 머무는 광주를 만들고, '대학·지자체 동반혁신모델'을 완성해 대한민국을 대표하는 지역혁신 선도도시로 자리매김할 계획입니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