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시공간' 관점으로 본 박화성 문학의 특질

    작성 : 2025-09-22 09:07:03
    송미성 『박화성 소설의 도시 공간』 출간
    작품 속 '목포'와 '서울' 장소성 규명
    기존 여성의식 중심의 편향성 극복
    ▲ 『박화성 소설의 도시 공간』

    전남 목포 출신으로 한국 현대문학의 초석을 다진 여류작가 박화성(1903~1988)을 새롭게 조명한 책이 나와 눈길을 끕니다.

    평론가 송미성 씨가 쓴 『박화성 소설의 도시 공간-목포(1920-1930)와 서울(1950-1960)을 중심으로』(문학들)가 출간되었습니다.

    이 책은 박화성 소설에서 특정한 시기의 목포와 서울을 분석 대상으로 하여, 허구와 실제의 도시 공간을 오가며 둘 사이의 반영성과 상호 관련성을 규명해 보고자 한 것이 특징입니다.

    일제강점기와 해방, 한국전쟁, 분단과 4·19혁명 등 현대사의 주요 사건을 온몸으로 겪으며 작품 활동을 활발히 해 온 박화성의 문학 속에 나타난 도시 공간을 통해 문학 지형도를 체감할 수 있습니다.

    특히 박화성의 소설에서는 '목포'라는 지역을 빼놓고 얘기할 수 없습니다.

    식민지 근대도시 '목포'의 성립과 그곳에서 살았던 사람들의 경험과 활동이 실제 지명과 함께 작품 속에 나타납니다.

    ▲ 박화성의 생전 활동 모습

    이 시기의 이야기가 국어국문운동, 근대소설의 정립 시기와 맞물린다는 점에서 박화성 문학에서 목포라는 공간을 연구하는 것은 더욱 각별한 의미를 갖습니다.

    저자는 박화성의 소설에서 식민도시 목포(1920-1930)의 장소성을 역동의 지역성을 반영한 결과이며 되찾아야 할 삶의 뿌리인 정주지로서의 감각을 불러일으키는 곳으로 규정했습니다.

    반면 전후 서울(1950-1960)은 억압된 분단의 상처가 형상화되지 못하고 '내재화'된 곳이며, 지리적으로 도시와 농촌, 서울과 교외 등의 관계 구도 속에서 낙관의 이중성이 반영되어 있는 도시로 정의하였습니다.

    ▲ 박화성과 그의 가족

    즉 박화성 문학의 '도시 공간'이라는 관점에서 '목포'와 '서울'을 연구하는 것은 기존 1930년대 여성의식, 사회의식 중심의 박화성 평론의 편향성을 극복한다는 의미를 지닌다고 할 수 있습니다.

    저자는 "한국 근현대사를 굽이굽이 거쳐 간 박화성 작가의 삶과 문학을 공부하는 일이 마치 지역에서 문학하는 사람으로서의 정체성을 지속해 나가기 위한 통과의례처럼 느껴졌다."고 말했습니다.

    이 책의 관점과 연구 결과가 설득력을 지니는 것은 저자 송미성 씨의 이력과 무관치 않습니다.

    저자는 전남대 문화인류학 석사, 광주대 문예창작학 박사를 졸업했으며, 현재 광주대 문예창작과 강사로 활동하며 소설과 비평을 쓰고 있습니다.

    댓글

    (0)
    ※ 댓글 작성시 상대방에 대한 배려와 책임을 담아 깨끗한 댓글 환경에 동참에 주세요.
    0 / 300

    많이 본 기사

    랭킹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