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극항로 시대로의 대전환...국가적 준비 속 항만별로 특화해야

    작성 : 2025-09-18 21:15:12
    【 앵커멘트 】
    지구온난화로 극지방 얼음 면적이 빠르게 감소하면서 북극항로 시대로의 대전환이 성큼 다가왔습니다.

    세계가 경쟁하는 만큼 정부 차원의 체계적인 준비 속에 항만별로 특화된 전략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왔습니다.

    정지용 기자의 보돕니다.

    【 기자 】
    북극의 얼음 면적이 빠르게 감소하면서 북극항로의 개방 시점이 앞당겨지고 있습니다.

    2030년경부터 여름철 약 3~4개월 간은 일반 선적으로도 북극에서 항해가 가능할 전망입니다.

    2050년쯤에는 얼음이 없는 '무빙해' 시대가 예상되고 있습니다.

    ▶ 인터뷰 : 진경 / 극지연구소 정책협력부장
    - "(2030년대 후반부터는) 쇄빙 능력이 없는 이런 선박들이 5개월 정도 여름 항로로 이용할 수 있을 정도로 얼음이 (녹을 것으로 전망됩니다.)"

    북극항로가 열리게 되면 환전 운송의 중심지가 싱가포르에서 대한민국으로 바뀌게 돼 국가 차원의 컨트롤 타워가 필요하다는 지적입니다.

    또 항만별로 특성에 맞는 화물을 유치하고 각 항만의 장점을 활용한 전략도 요구되고 있습니다.

    여수광양항은 배후 산업단지를 고려해 에너지 환적 중심항으로 육성해야 한다고 진단했습니다.

    ▶ 인터뷰 : 박성현 / 목포대학교 전 총장
    - "북극에서 나오는 가스와 석유를 여수항에 와서 내빙선을 타고 와서 여기서 일반 선박으로 환적해서 세계 각국으로 (보내야 합니다.)"

    이를 위한 특별법 제정과 제도적 뒷받침을 위해 정부와 국회 차원의 공동 대응이 절실한 상황입니다.

    ▶ 인터뷰 : 주철현 / 민주당 의원 (북극항로공동포럼회장)
    - "최근 기후변화로 인한 (북극) 항로 개방 가능성이 높아지면서 국가 물류 전략의 새로운 성장축으로 급부상하고 있습니다."

    북극항로 시대 개막을 앞두고 세계 각국이 경쟁에 나선만큼 철저한 사전 준비 작업이 필요하다는 지적입니다.

    KBC 정지용입니다.

    댓글

    (0)
    ※ 댓글 작성시 상대방에 대한 배려와 책임을 담아 깨끗한 댓글 환경에 동참에 주세요.
    0 / 300

    많이 본 기사

    랭킹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