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미혼 남성이 미혼 여성보다 20%가량 많아 성비 불균형이 심각한 수준에 이르고 있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습니다.
17일 한국보건사회연구원이 발표한 '한국의 출생성비 불균형과 결혼성비' 보고서에 따르면 2021년 기준, 미혼 남성이 미혼 여성보다 19.6% 더 많은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이 같은 성비 불균형은 인구학적으로 미혼 남성이 결혼하기에 불리한 구조를 형성합니다.
불균형은 특히 비수도권 지역에서 더 심각하게 나타났습니다.
서울의 미혼 남성 과잉 비율은 2.5%였지만 경북은 34.9%, 경남은 33.2%, 충북은 31.7%로 매우 높은 수준을 보였습니다.
결혼성비 불균형은 남녀 간 미혼율 차이로도 나타났습니다.
2020년 기준으로 1985년생(당시 35세)의 미혼율은 남성이 46.5%로 여성의 29.1%보다 훨씬 높았습니다.
성비 불균형의 원인으로는 남아선호사상과 출산율의 급격한 감소로 인한 자녀 성 선택 욕구 증가, 초음파 검사 등의 기술 공급이 꼽혔습니다.
출생성비는 1970년대부터 자연성비를 초과하기 시작해 1980년대 후반~1990년대 중반까지 높은 수준을 유지하다가 2007년부터 자연성비 범위 안으로 들어왔습니다.
보고서는 "1970년부터 30년 이상 출생성비가 자연성비를 넘어서는 수준이 지속됐다"며 "이들이 재생산 연령대에 접어들었을 때 결혼성비에도 지대한 영향을 미친 것"이라고 설명했습니다.
또, 결혼성비 불균형이 특히 심각한 지역은 1980~1990년대 출생성비가 다른 지역에 비해 매우 불균형하다는 특징이 있다고 덧붙였습니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