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앵커멘트 】
생태교란 식물인 '양미역취'가 빠른 속도로 순천만을 잠식하고 있습니다.
매년 여름 제거 작업을 벌이고 있지만 예산과 인력이 부족해 확산 속도를 따라잡지 못하고 있습니다.
이상환 기잡니다.
【 기자 】
습지보호지역으로 지정된 순천만의 동천 하구입니다.
갈대는 온데 간데 없고 노란색 꽃으로 뒤덮였습니다.
환경부가 생태 교란식물로 지정한 양미역취입니다.
토종 식물의 서식지를 빠르게 잠식해 군락을 이뤘습니다.
이같은 군락지는 순천만습지 곳곳에서 발견되고 있습니다.
▶ 인터뷰 : 음수지 / 순천시 연향동
- "꽃이 예뻐서 잠시 멈췄는데 이게 외래종이고 우리나라 갈대를 잠식하고 있다는 걸 알게 되면서 빨리 제거해야 되지 않을까 생각됩니다."
양미역취 제거 사업에 순천시는 연간 4천만 원, 영산강유역환경청은 천 8백만 원을 투입하고 있습니다.
주민과 환경단체가 힘을 보태고 있지만 예산과 인력의 한계로 제거 작업은 순천만 일부분에 그치고 있습니다.
▶ 싱크 : 영산강유역환경청 관계자
- "확산 속도에 대비해서 국가적 예산 편성이 집중적으로 이뤄줘야 될 측면이 있는데 기재부가 그런 예산을 다 수용해주는 것도 아니고.."
해마다 제거작업을 벌여도 제한된 예산과 인력으로는 양미역취의 확산 속도를 따라잡지 못하고 있습니다.
kbc 이상환입니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