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앵커멘트 】
정부나 지자체의 지원을 받아 지어진 농촌마을의 공용 시설 사용권을 놓고 주민들 간 갈등이 잇따르고 있습니다.
수십 세대에 불과한 농촌 마을 다툼이 법정 싸움으로까지 번지면서 마을이 두 동강 나고 있습니다. 김재현 기자의 보돕니다.
【 기자 】
광주시 북구의 한 농촌 마을 주민 30여 명은 최근 같은 마을 주민들을 공금횡령 등의 혐의로 고발했습니다.
일부 주민이 마을 공용시설을 멋대로 사용했다는 이윱니다.
이들은 ▶ 스탠딩 : 김재현
- "구청의 지원비를 받아 지어진 이 창고의 임대수익을 서로 나누어 갖기로 했지만 약속이 지켜지지 않았다고 주장합니다."
지난 2007년 창고가 지어진 이후 임대수익을 관리해왔던 강 모 씨 등이 임대비를 가로챘다는 겁니다.
▶ 인터뷰 : 정영찬 / OO마을자치위 총무
- "시내 유통회사 하시는 분들한테 임대를 내주게 됐어요. (임대수익을) 모든 세대에 균등하게 배분하는 것을 원칙으로 했었습니다."
또 다른 마을에서도 공동창고의 처분을 놓고 분쟁이 한창입니다.
7년 가까이 공동으로 사용했던 창고를 일부 주민들로만 구성된 주민자치위원회에서 팔아버렸기 때문입니다.
▶ 싱크 : OO마을 주민
- "소위 원주민이라고 하는 사람들끼리 모여가지고 인근 식당으로 와라 그래가지고 이렇게 (매각) 합시다 하니까 누가 반대하겠어요. 돈 나눠 준다는데"
보상을 받지 못한 나머지 주민들은 공동의 재산을 일부 주민들끼리 처분한 것이 부당하다며 검찰에 고소장을 제출했습니다.
공동시설을 둘러싼 농촌 마을 주민들 간의 다툼이 끊이지 않으면서 한적한 시골마을 곳곳에서 갈등의 골이 깊어지고 있습니다.
kbc 김재현입니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