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관세 위협'에 미국 소비자들이 관세 부과 전에 아이폰을 사기 위해 매장으로 몰렸다는 보도가 나왔습니다.
블룸버그통신은 현지시각 8일 미국 전역의 애플 매장 직원들을 인용해 주말에 고객들로 매장이 가득 찼다고 보도했습니다.
한 애플 매장 직원은 "'패닉 바잉(불안감에 의한 사재기)' 하려는 사람들로 매장이 붐볐다"며 "모두가 가격이 곧 오를지 물어봤다"고 전했습니다.
애플은 아이폰 대부분을 중국에서 만들고 있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 2일 국가별 상호관세를 공개하며 중국에 대한 상호관세율을 34%로 발표했습니다.

관세 우려 속에 중국을 핵심 생산기지로 삼고 있는 애플은 큰 타격을 받았습니다.
애플 주가는 최근 3일 동안 19% 하락했는데, 3거래일 간 시총은 6,380억 달러(938조 원)가 증발했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정책으로 아이폰 가격이 크게 오를 수 있다는 전망도 나오는 가운데 애플은 재고를 비축하는 등 관세 폭풍에 대비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또, 상대적으로 관세가 낮은 인도에서 생산한 아이폰을 미국 시장에 더 많이 공급할 예정이라는 보도도 나왔습니다.
인도산 수입품에 대한 미국 상호관세율은 26%입니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