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별·이]'카메라 수리 장인' 송원봉 "카메라 130여대, 유일한 재산"(1편)

    작성 : 2024-10-12 09:00:02
    부친, '호남·제주 최초 DP&E점 개업'
    초등학생 때부터 카메라와 동고동락
    일제강점기 때 찍은 사진 분실 '아쉬움'
    [남·별·이]'카메라 수리 장인' 송원봉 "카메라 130여대, 유일한 재산"(1편)

    '남도인 별난 이야기(남·별·이)'는 남도 땅에 뿌리 내린 한 떨기 들꽃처럼 소박하지만 향기로운 사람들의 이야기를 전하고자 합니다. 여기에는 남다른 끼와 열정으로, 이웃과 사회에 선한 기운을 불어넣는 광주·전남 사람들의 황톳빛 이야기가 채워질 것입니다. <편집자 주>

    ▲부친이 호남·제주 최초로 DP&E점을 개업했던 충장로 5가 점포(현 신락원)를 가리키는 송원봉 씨

    올해 82살인 송원봉 씨는 한 때 광주에서 잘나가던 카메라 수리 기술자였습니다.

    디지털 카메라 등장에 이어 고화질 카메라가 내장된 휴대폰이 등장하면서 10년 전 수리점을 정리했지만 지금도 옛 추억을 잊지 못하고 있습니다.

    그의 집에는 20대부터 틈틈이 수집해 온 130여 대의 카메라가 그의 반세기 카메라 인생을 말해주고 있습니다.

    송 씨가 처음 카메라를 접한 것은 1954년 초등학교 5학년 때였습니다.

    당시 부친(송범선)이 카메라 가게(DP&E점)를 운영하고 있었기 때문이었습니다.

    DP&E는 'Development Printing & Enlarge'의 약자로 필름을 사진으로 인화, 확대하는 것을 말합니다.
    ◇ 신락원 자리서 '걸작카메라' 개업
    부친은 1930년 무렵 광주광역시 충장로 5가 42번지 하나은행 옆 지금의 신락원 식당 자리에서 '걸작카메라'라는 간판을 내걸고 호남·제주 최초로 DP&E점을 개업했습니다.

    원래 그 가게 자리는 조부 송태익 씨가 남선지물점을 하던 곳이었습니다.

    조부는 남선지물상회 외에 제재소와 광주 최초로 전당포를 개설하는 등 여러 개의 점포를 운영한 사업가였습니다.

    1946년 출범한 광주상공회의소 초대 상임위원 명단에도 조부 송태익의 이름이 올라와 있습니다.

    송 씨는 "당시 광주에서 3번째로 많은 세금을 납부할 만큼 조부의 재력이 상당했다"고 말했습니다.

    ▲집 안에 보관중인 다양한 종류의 카메라들

    그의 부친 때까지도 충장로 옛 산업은행 앞에 87평 주택을 비롯 충장로 일대에 5채의 집이 있었고, 상무지구에도 많은 전답이 있었다고 합니다.

    하지만 조부가 암에 걸려 오랜 투병생활을 하면서 많은 부동산을 처분하게 됐고, 실제로 남겨진 재산은 많지 않았습니다.

    그의 부친은 달리기에 소질이 있어 중장거리 육상선수로서 두각을 나타냈습니다.

    허리의 탄력을 이용한 자기만의 주법을 개발해 좋은 기록을 낼 수 있었다고 설명했습니다.

    이 주법은 한번 탄력을 받으면 속력이 가속되면서 치타처럼 더욱 빠르게 달릴 수 있는 혁신적인 방법이었습니다.
    ◇ 독일제 엘마 3.5 카메라, 거액 들여 장만
    부친이 세운 초등부 기록은 1960년대까지도 깨지지 않을 정도로 독보적이었습니다.

    그래서 올림픽 출전을 목표로 영어공부를 하기도 했으나 조부의 완고함 때문에 육상선수의 꿈을 포기해야 했습니다.

    ▲부친이 소유했던 라이카 엘마 3.5 카메라와 동종 카메라

    이에 따라 부친은 사진에 관심을 가지게 됐고 일제강점기 우리나라에 2대 밖에 없었던 라이카 엘마 3.5 카메라를 거액을 들여 장만했습니다.

    당시 구입가격은 130원(圓)이었는데, 이 금액의 가치는 광주극장 가격(135원 추정)에 거의 버금가는 금액이었습니다.

    만일 130원으로 광주 변두리에 있는 땅을 산다면 어마어마한 땅을 매수할 수 있는 많은 돈이었습니다.

    이 고가의 카메라를 사려고 서울에 올라가서 일본인 주인에게 요청하자 "카메라를 애인처럼 사랑할 수 있겠느냐, 그렇지 않으면 팔지 않겠다"고 말해, "애인처럼 사랑하겠다"는 언약을 하고 구입했다고 전했습니다.
    ◇ 부친, 일본서 카메라 수리기술 배워 귀국
    그렇게 애지중지하던 카메라가 고장나자 수리를 하려고 했지만, 국내에서는 수리가 어려워 결국 일본까지 가게 됐습니다.

    그 후 부친은 일본에서 카메라 수리기술을 배우고 돌아와 1930년 무렵 DP&E점을 개업했습니다.

    ▲시대별로 특징을 가진 카메라들

    당시 광주 최초의 사진관은 5·18민주화운동 기록관 부근에 윤관혁 씨가 개업했는데, 그는 일본에서 사진학교를 졸업했다고 합니다.

    부친은 라이카 카메라로 많은 작품 사진들을 촬영했는데, 일제강점기 당시 동양 최고의 무희였던 최승희 사진도 찍었다고 합니다.

    또한 광주공원에 세워진 금융탑과 해방 후 광주비행장에서 미군이 야구 경기를 하는 장면 등 희귀사진을 많이 촬영했다고 회상했습니다.

    하지만 부친이 찍은 사진과 필름을 직원이 퇴사하면서 모두 가져가 버려 한 장도 남아 있지 않다고 송 씨는 씁쓸한 표정을 지었습니다.

    심지어 카메라 가게 전경 사진까지 남아 있지 않아 매우 안타깝다고 토로했습니다.
    ◇ 소풍 때 친구들 찍어주며 인기 독차지
    이후 부친은 충장로4가 옛 대광백화점 앞에 점포를 마련해 '동양카메라'라는 상호로 이전 개업했습니다.

    초등학생 시절 송 씨는 이곳을 자주 드나들며 카메라에 호기심을 갖게 됐고, 어깨 너머로 부친이 수리하는 모습을 보면서 공구사용법을 눈여겨 보았습니다.

    또한 초등학교 때 카메라를 메고 친구들을 찍어주어 늘 부러움을 샀습니다.

    소풍 때는 도시락 대신 카메라만 있으면 친구들이 잘보이려고 맛있는 음식을 가져와 주면서 사진을 찍으려고 경쟁을 벌였습니다.

    송 씨는 "얼마 전 친구집에 놀러갔는데 친구가 초등학교 5학년 때 극락강으로 소풍 갔을 때 찍어준 사진이라며 보여주었을 때 감회가 깊었다"고 말했습니다.

    댓글

    (0)
    ※ 댓글 작성시 상대방에 대한 배려와 책임을 담아 깨끗한 댓글 환경에 동참에 주세요.
    0 / 300

    많이 본 기사

    랭킹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