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정부가 추진 중인 이산화탄소 포집·활용(CCU) 대규모 실증 사업 부지 5곳에 포함됐던 전남 여수시가 예비타당성 심의에서 결국 고배를 마셨습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28일 박인규 과학기술혁신본부장 주재 '2025년 제9회 국가연구개발사업평가 총괄위원회'를 열어 과기정통부 'CCU 메가프로젝트' 사업 예비타당성 조사 결과를 심의한 결과 5곳 중 3곳만 통과됐다고 밝혔습니다.
이 사업은 이산화탄소 공급부터 제품 활용까지 CCU 전주기 실증을 지원하는 사업으로, 다배출 산업과 연계한 대형 연구개발(R&D) 프로젝트 실증을 위해 마련됐습니다.
지난해 사업 부지로는 여수(정유화학)를 비롯해 충남 서산(석유화학)과 보령(발전), 강원 강릉·삼척(시멘트), 경북 포항(철강) 등 5곳이 선정됐습니다.
하지만 이번 예타 결과 발전과 철강 분야 2곳만 선정됐고 나머지 세 곳은 사업에서 제외됐습니다.
사업 규모도 당초 과기정통부가 신청한 내년부터 5년간 국고 7,396억 원, 지방비 120억 원, 민자 3,875억 원 등 모두 1조 1,392억 원 규모에서 3분의 1 수준인 3,806억 원(국비 2,380억 원) 규모로 축소됐습니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