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광주광역시가 오는 6월 제21대 대통령선거를 앞두고 'AI주도 초격차 성장도시, 광주'를 만들기 위한 대선 공약을 제안했습니다.
강기정 광주시장은 8일 시청 브리핑룸에서 "이제 우리는 대선을 위해 유능한 민주정부를 수립, 민주주의를 회복하고 닫혀가는 대한민국 성장판을 다시 열어야 한다"며 대선 광주 공약으로 15개 과제, 40개 사업을 제시했습니다.
"'속도'와 '집적'이 성패 가른다"..인공지능(AI) 주도 성장
그동안 '인프라, 기업, 인재'로 이어지는 AI 생태계를 조성해 온 광주시는 초거대AI컴퓨팅센터 구축과 인공지능전환(AX) 실증밸리 사업(AI 2단계 사업) 등을 추진해 'AI모델시티-더 브레인 광주'를 조성한다는 구상입니다.
또 △AI·모빌리티 융합 메가 샌드박스 시범 신도시 조성 △미래차 RE100 스마트 산단 조성 등을 통해 빛그린산단, 미래차국가산단 등 300만 평에 국내 최초 미래형 기업 신도시 '최첨단 미래 모빌리티 신도시 조성'을 추진합니다.
이와 함께 △분산에너지 실증단지 조성 △배터리 모듈·시스템 특화단지 조성 등을 통한 '넷제로(Net-Zero) 분산에너지 허브'를 조성한다는 계획입니다.
'문화 주도 성장'으로 아시아문화중심도시 완성
'아시아문화중심도시' 광주는 광주만의 역사·문화 자원과 스토리를 AI 기술과 융합시켜 콘텐츠 산업을 키우고 도시발전의 새로운 성장축으로 발전시켜 나갈 계획입니다.
이를 위해 △'아시아문화중심도시조성청' 신설 △3대 국립 문화시설(국립현대미술관, 대한민국민주화박물관, 국회도서관 광주관) 유치 △K-문화콘텐츠 테크타운 조성 등을 추진합니다.
또 한강 작가가 세계 속에 널리 알린 5·18의 상징적 장소, 5·18구묘역을 민주공원으로 조성할 계획입니다.

지속가능한 성장 위해 대·자·보 도시 광주 실현
광주시는 대·자·보(대중교통, 자전거, 보행 중심) 도시 실현을 위해 교통 인프라 구축에 나섭니다.복합쇼핑몰 개점과 대규모 재개발이 예정된 광천권역 교통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도시철도 광천상무선 신설을 추진합니다.
또 도심항공교통(UAM) 등 미래모빌리티 연계한 △광주송정역 미래형 환승센터를 조성하고, △호남고속도로 동광주~광산IC 확장이 국가사업으로 추진될 수 있도록 적극 요청할 계획입니다.
△영산강유역 물순환 체계 구축 △광주천 생태 복원 사업을 추진해 '지속가능한 영산강·광주천 수변 활력도시'를 조성할 예정입니다.
이와 함께 △대학연합 M·E·C·A(모빌리티, 에너지, 반도체, AI) 전문인력 양성 △규제프리 창업 실증지구 지정 △디지털 혁신거점 공간 조성 등을 통해 청년의 미래를 책임지는 교육·창업·실증도시를 조성한다는 구상입니다.
초광역 국가사업·사회 통합 위한 국가과제 제안
광주시는 초광역 단위 국가사업과 통합을 위한 국가과제도 제안했습니다.
우선 초광역 단위 국가사업으로 민·군 통합 서남권 관문공항 조성, 광주·전남·전북 서남권 메가시티 조성, 남도의 맛과 멋을 살린 글로벌 관광거점 육성 등을 제시했습니다.
여기에는 △광주선 도심구간 지하화를 포함한 달빛철도 신속 추진 △서남권 에너지 경제공동체 구축 △서남권 메가시티 고속도로(고흥~광주~전주~세종) 건설 등이 포함됐습니다.

광주시는 보수와 진보의 갈등, 수도권과 지방의 갈등, 지역 간 갈등, 계층 간 갈등을 극복하고 통합의 시대로 나아가기 위한 5대 국가과제도 제안했습니다.
△5·18 정신 헌법 전문 수록 △국립 갈등관리·사회통합원 건립 등을 통해 '더 단단한 민주국가 조성'을 요청했습니다.
또 군공항을 포함해 마륵동 탄약고, 평동 포사격장 등 군사시설 재배치와 군사시설 이전 과정 전반을 전담하는 대통령 직속기구, 가칭 '군사시설이전위원회'를 설치하는 것 등을 골자로 한 '국민 모두가 안심하는 안전한 대한민국 조성'을 제안했습니다.
이밖에도 내륙도시에 에너지 전환 기반을 마련하는 등의 '미래를 준비하는 지속가능한 대한민국 조성', 국가 통합돌봄 표준모델을 구축하는 것 등 '삶의 기본을 바로 세우는 포용국가 조성', 제2차 공공기관 이전 등 '모든 지역이 잘 사는 국가균형성장시대 개막' 등을 공약에 포함시켜달라고 요청했습니다.
광주시는 이들 공약을 대선 출마를 선언한 모든 후보들에게 전달한 뒤 각 당의 대선 후보가 결정되면 다시 한 번 정당의 대선 공약에 포함될 수 있도록 힘을 쏟을 계획입니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