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앵커멘트 】
어리고 손이 작은 초등학생들에게 어른용 수저와 젓가락으로 급식을 먹도록 하는 건 '인권침해'라는 인권위의 판단이 나왔는데요.
광주·전남 지역 초등학교 10곳 중 9곳은 여전히 어른용을 사용하고 있습니다. 정의진 기잡니다.
【 기자 】
이 초등학교의 급식 풍경이 달라진 건 지난 5월, 1~5학년 수저와 젓가락을 어린이용으로 바꾼 뒤부텁니다.
▶ 인터뷰 : 임소미 / 광주 지한초등학교 교사
- "손가락 소근육이 발달하지 않아서 좀 무거워했어요 그전의 젓가락 같은 경우는.. 그런데 바뀌고 나선 가벼워서 그런지 애들이 젓가락도 잘 안 떨어뜨리고 음식 같은 것도 잘 집고 하는 게 많이 변화한 것 같습니다"
▶ 스탠딩 : 정의진
- "어른용 수저의 길이는 20㎝, 어린이용 수저는 15~18㎝ 정도입니다. 어리고 손이 작은 초등학교 저학년 학생들은 아무래도 큰 수저나 젓가락이 불편할 수밖에 없는데, 여전히 일부 학교에선 어른용으로 밥을 먹고 있습니다."
광주·전남 초등학교 90% 이상이 어린 학생들에게 어른용을 사용하도록 하고 있는 겁니다
▶ 싱크 : 교육청 관계자
- "조리 종사자들의 작업이 굉장히 번거로운 게 또 있어요. 전체적으로 바꾼다 해도 큰돈은 들어가지 않는데, 현재 좀 실태를 관망하고 있습니다."
▶ 인터뷰 : 박고형준 / 학벌없는사회를위한시민모임
- "예산이 얼마 안 되는 이런 수저 부분이나 식생활에 필요한 도구들에 있어선 단위 학교에 맡겨버리는 현실이거든요. 오히려 그런 부분들은 교육청이 책임을 지고 일괄 구매해서 학교에 지원을 해줘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어린이용 수저는 한 벌에 2천 원 정도,
수저에 아이들의 손을 맞추도록 할 게 아니라, 어른들의 무관심을 반성해야할 때입니다. kbc 정의진입니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