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61년 해경 역사속으로

    작성 : 2014-11-20 08:30:50
    세월호 사고의 책임을 물어 해양경찰이 61년의 역사를 마감하고 해체됐습니다.

    수사기능이 대폭 축소된 채 현장 중심으로 재편돼 신설된 국민안전처에 편입됐는데, 개편 첫 날 분위기는 뒤숭숭했습니다. 이동근 기잡니다.



    정부조직업 개정안이 시행되는
    어제(19일)부로 해양경찰은 국민안전처
    산하의 해양경비안전본부로 편입됐습니다.

    1953년 내무부 소속 해양경찰대로 출범한
    해경은 1996년 해수부 산하 외청으로
    확대된 후 61년만에 역사속으로 사라지게
    됐습니다.


    그동안 4국 체체였던 해경은
    정보수사국이 폐지된 3국 체제로 축소됐고
    목포와 군산, 태안 등을 담당했던
    서해지방청이 서해본부와 중부본부로
    나눠지면서 5개 지방본부로 재편됐습니다.

    명칭도 지방청이 지방 해양경비안전본부로
    일선 해경서는 해양경비안전서로 변경됐습니다.

    이번 조직 개편의 가장 큰 변화는
    정보*수사기능의 대폭 축소입니다.

    세월호 사건을 통해 해경이 해상 경비의
    전문성을 키우기보다 정보*수사기능 확대에
    매달렸다는 지적이 일었고 대통령의
    해경 해체 발언 이후 정보*수사기능 폐지가
    줄곧 거론돼 왔습니다.

    이에 따라 서해지방청과 목포해경도
    정보와 수사과를 통합하고 80여명의 인력
    가운데 70%를 대폭 축소해 50여명은
    일반 경찰로 자리를 옮겼습니다.

    해상 경비와 안전분야의 전문성을
    높인다는 정부 방침이지만 해경 내부는
    술렁이고 있습니다.

    일반 경찰로 자리를 옮기는 인력 배치에
    대해 양측의 구체적 협의가 이뤄지지 않아
    근무공간 조정에 혼선을 빚고 있습니다.

    정보*수사에서 해상경비 현장으로
    배치되는 인력도 내부 인사발령안이
    아직 확정되지 않아 갈팡질팡하고 있습니다.

    싱크-OO해양경비안전서 관계자
    "일반 경찰로 가는 사람, 여기 남는 사람,
    남아서 또 발령이 나는 사람 여러 종류로 나뉘다보니까 다들 심란하죠"

    이런 가운데 재편된 해양경비안전본부의
    초대 수장으로 바다 경험이 전무한
    경찰청 차장이 또 다시 중용되면서
    해상경비와 구조에 전문성을 높이겠다던
    정부 의지와 엇박자라는 비판도 쏟아지고
    있습니다.

    kbc 이동근입니다.

    댓글

    (0)
    ※ 댓글 작성시 상대방에 대한 배려와 책임을 담아 깨끗한 댓글 환경에 동참에 주세요.
    0 / 300

    많이 본 기사

    랭킹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