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2009년 처음 발생한
낭충봉아부패병으로 우리나라 토종벌의 95% 가량이 죽는등 멸종위기를 맞고 있습니다.
그동안 낭충봉아부패병에 대한
이렇다할 대책이 없어 손을 놓았으나 새로 개발된 벌통이 병 확산 방지에 큰 효과가 있는 것으로 밝혀져 주목받고 있습니다.
보도에 안승순 기잡니다.
토종벌 애벌레를 떼죽음으로 몰고간 괴질, 낭충봉아부패병에 걸린 벌통입니다.
애벌레가 있어야 할 벌집에
엉뚱한 해충만 가득하고 하얗던 벌집은
시커멓게 썩었습니다.
지난 4년간 토종벌은 낭충봉아부패병으로 95%가 사라져 멸종위기에 놓였습니다.
농촌진흥청과 전남농업기술원이
공동연구한 결과 병 확산에는 벌통구조가 문제였습니다.
기존 벌통은 각각의 벌집이 고정돼 있어
바이러스가 벌통전체로 퍼질 때까지 확인이 어려워 피해를 키웠습니다.
벌집이 분리되도록 구조를 바꿔
수시로 벌집 안을 볼 수 있게 만들었더니
벌집의 이동과 여왕벌의 격리가 쉬워져
질병 확산을 차단할 수 있게 됐습니다.
<인터뷰>김광수/양봉 농민
"해충이라든가 이런 것이 있을 때 발견하기가 쉽고 그리고 산란율이 떨어지는 여왕벌의 격리도 편하고 이런 목적인 그런 걸로
보면은 개량 벌꿀이 휠씬 수월합니다"
실제로 1년 동안 개량 벌통으로 벌을 키운농가의 벌통은 8배로 크게 늘었습니다
<인터뷰>김정은/전남농기원 연구사
"개량 벌통이 휠씬 더 봉분이 더 많게 증식을 할 수 있기 때문에 휠씬 꿀 생산량(증가)에도 도움이 될 거라고 생각합니다"
하지만, 개량된 벌통이 병의 확산을
막을 수 있을뿐 낭충봉아부패병이 어디서 발생했고 어떻게 전염됐는지 알 수가 없고 아직 치료약도 없어 근본적인 대책이
시급하다는 지적입니다.
kbc 안승순입니다.
랭킹뉴스
2025-09-04 11:54
금호타이어 광주공장 화재는 '인재'...공장장 등 4명 입건
2025-09-04 11:10
중학교 男 교사, 학생 성추행·성희롱 의혹...직위해제
2025-09-04 10:33
CCTV 확인했다 거짓말하며 임산부를 절도범으로 몬 경찰관
2025-09-04 09:20
광주서 빌라 화재...50대 거주자 얼굴 화상
2025-09-04 08:30
경의중앙선 전동차에 20대 추정 여성 치여 숨져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