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OECD에 따르면, 지난해 우리나라 근로시간은 연간 1,915시간으로 OECD 38개 회원국 가운데 5번째로 많았습니다.
OECD 평균은 연 1,716시간으로, 우리나라 근로시간은 평균보다 연 199시간 길었습니다.
멕시코가 연 2,128시간으로 OECD 회원국 가운데 1위였고, 코스타리카(2,073시간), 콜롬비아(1,964시간), 칠레(1,916시간) 등 중남미 4개국만 우리나라보다 근로시간이 많았습니다.
독일은 1,349시간으로 가장 적었습니다.
이외에도 덴마크(1,363시간)와 룩셈부르크(1,382시간), 네덜란드(1,417시간), 노르웨이(1,427시간) 등 유럽 선진국들은 상대적으로 근로시간이 적었습니다.
미국은 1,791시간으로 8위, 일본은 1,607시간으로 21위였습니다.
우리나라 근로시간은 10년 전인 2011년보다 10.3%(221시간) 가량 줄었습니다.
2011년 우리나라 근로시간은 연 2,136시간으로 당시 OECD 1위였습니다.
순위 하락에는 주 52시간 근무제 시행 등 우리나라 근로시간 감소와 함께 콜롬비아, 코스타리카 등의 OECD 가입이 큰 영향을 미쳤습니다.
2위 코스타리카는 지난해 5월, 3위 콜롬비아는 2018년 OECD에 가입했습니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