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더불어민주당과 조국혁신당이 국민의힘 박민영 대변인의 장애인 비하 발언과 지도부의 미온한 대응을 강하게 비판했습니다.
더불어민주당 전수미 원내대변인은 18일 서면브리핑을 통해 "박민영 대변인의 '장애인 할당이 너무 많다', '눈이 불편한 것 빼고는 기득권' 발언은 약자를 조롱하고 장애를 차별하는 폭력의 언어"라며 "이는 단순 실수가 아닌 명백한 혐오 조장"라고 지적했습니다.
전 대변인은 "그보다 더 심각한 건 송언석 원내대표가 이를 '자그마한 내부 일'이라 축소한 것"이라며 "이 발언은 차별에 무지를 더한 2차 가해이자 정당의 윤리 기준이 실종된 행태"라고 비판했습니다.
이어 "국가인권위에 진정이 접수된 사안을 '집안일'로 덮으려는 것은 책임 포기"라며 "국민의힘은 박 대변인을 즉각 해임하고 송 원내대표는 공식 사과해야 한다"고 촉구했습니다.

조국혁신당 역시 같은 날 국회 소통관 기자회견을 열고 박민영 대변인의 막말을 "장애를 혐오의 대상으로 삼는 정치적 폭력"이라 규정했습니다.
김선민 사회권선진국특위 위원장은 "박민영 대변인이 김예지 의원을 향해 '사람 같지도 않은 사람'이라 한 것은 장애 시민 전체의 존엄을 짓밟은 것"이라며 "국민의힘 지도부가 '엄중경고' 한마디로 덮으며 혐오를 방조하고 있다"고 지적했습니다.
최창현 조국혁신당 장애인위원장은 "장애는 결함이 아니라 다양성의 한 형태이며, 장애인을 향한 혐오는 민주주의에 대한 공격"이라며 "국민의힘은 장애인 배제 정당으로 전락했다. 스스로 문을 닫거나 헌법의 정당해산 심판을 기다려야 할 것"이라고 비판했습니다.
두 당은 한목소리로 국민의힘에 △박민영 대변인 징계·해임 △송언석 원내대표의 발언 철회 및 사과 △재발 방지 대책 마련을 요구했습니다.
전수미 대변인은 "공당의 대변인이 약자를 비하하고 지도부가 이를 감싸는 현실이야말로 우리 정치의 수치"라며 "장애 비하를 사소하게 여기는 국민의힘의 인식이야말로 또 하나의 폭력"이라고 강조했습니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