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지난해 광주와 전남에서 교사들의 교육활동이 침해된 사례가 총 241건에 달한 것으로 조사됐습니다.
14일 교육부가 발표한 '2024학년도 교육활동 침해 실태조사'에 따르면, 광주에서는 150건, 전남에서는 91건의 교권보호위원회가 열렸습니다.
광주의 경우 중학교에서 가장 많은 90건이 접수됐고, 고등학교 31건, 초등학교 26건, 특수학교 3건 순이었습니다.
전남은 중학교 53건, 고등학교 22건, 초등학교 15건, 유치원 1건이었습니다.
교권 침해 유형별로는 광주에서 명예훼손이 54건, 교육 활동 방해 46건, 상해와 폭행이 16건이었고, 전남은 교육 활동 방해 32건, 모욕·명예훼손 15건, 상해·폭행 10건 순이었습니다.
교권 침해 학생에 대한 조치는 광주에서 출석 정지 53건, 사회봉사 31건, 전학 10건 등이 내려졌고, 전남에서는 출석 정지 28건, 전학 16건, 사회봉사 13건이었습니다.
광주교육청은 지난해 교육감 직속 교권 보호현장지원단을 구성하고, 모든 학교에 민원 대응팀을 설치해 교사 보호에 나섰습니다.
전남교육청도 '교육활동 보호 지원단'을 통해 교원의 교육활동을 보호하고, 예방 차원의 컨설팅과 연수를 통해 교사의 수업권을 보호하는 정책을 펼치고 있습니다.
전남교육청 관계자는 "교권 보호와 학생 인권이 균형 있게 보장되는 교육 환경을 만들겠다"고 강조했습니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