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사망자 수 줄었지만..자살률은 2년 만 상승

    작성 : 2024-10-04 15:02:18
    ▲ 자료이미지 

    코로나19 엔데믹 속 지난해 사망자 수가 전년보다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다만 자살률은 2년 만에 높아졌고, 10대 사망자 수가 전 연령대 중 유일하게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통계청은 4일 이같은 내용의 '2023년 사망원인통계 결과'를 발표했습니다.

    이에 따르면 지난해 사망자 수는 35만 2,511명으로 전년보다 5.5%(2만 428명) 감소했습니다.

    사망자 수가 줄어든 것은 2019년(-1.2%) 이후 4년 만입니다.

    사망자 수는 고령화로 증가 추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2022년에는 코로나19 확산에 17.4% 급증한 37만 3천 명으로 관련 통계 작성이 시작된 1983년 이후 역대 최다를 기록한 바 있습니다.

    작년에는 코로나19 엔데믹을 맞으면서 사망자 수가 줄었습니다.

    지난해 코로나19 사망자 수는 7,442명으로 전년보다 2만 3,838명(-76.2%) 급감했습니다.

    코로나19는 사망 원인 순위에서도 2022년 3위에서 지난해 10위로 하락했습니다.

    고의적 자해(자살) 사망자 수는 1만 3,978명으로 전년보다 8.3%(1,072명) 증가했습니다.

    인구 10만 명당 자살 사망자 수인 자살률은 27.3명으로 8.5%(2.2명) 상승했습니다.

    자살률이 올라간 것은 2021년(1.2%) 이후 2년 만입니다.

    연령대별로 보면 60대(13.6%), 50대(12.1%), 10대(10.4%) 등에서 높아졌습니다.

    자살률 상승에 10대에서 전체 사망자 수는 803명으로 0.9% 늘어 전 연령대 중 유일하게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10대와 20대, 30대에서 사망 원인 1순위는 자살이었습니다.

    성별로는 남자(38.3명)가 여자(16.5명)보다 2.3배 높았습니다.

    ▲ OECD 국가 연령표준화 자살률 비교 자료 [연합뉴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기준 연령표준화 자살률은 우리나라가 24.8명으로 전 세계 중 가장 높았습니다.

    OECD 평균은 10.7명이었습니다.

    OECD 연령표준화 자살률은 OECD 기준인구를 바탕으로 연령 구조 차이를 제거한 사망률로서 국가 간 비교에 활용됩니다.

    지난해 사망 원인 1위는 악성신생물(암)이었습니다.

    암은 통계 작성이 시작된 1983년 이후 줄곧 사망 원인 1위를 차지하고 있습니다.

    인구 10만 명당 암에 의한 사망자 수인 암 사망률은 166.7명으로 전년보다 2.5%(4.1명) 증가했습니다.

    암 사망률은 폐암(36.5명), 간암(19.8명), 대장암(18.3명), 췌장암(15.0명), 위암(14.1명) 순으로 높았습니다.

    전년 대비로는 전립선암(9.1%), 자궁암(8.4%), 백혈병(6.5%) 등의 사망률이 상승했습니다.

    반면 유방암(-0.8%), 간암(-0.5%), 식도암(-0.2%) 등의 사망률은 하락했습니다.

    암은 1∼9세와 40대 이상에서 사망 원인 1위였습니다.

    ▲ 연령별 사망률이 높은 암 [통계청]

    40대에서는 유방암(4.8명), 50대에서는 간암(16.4명) 사망률이 가장 높았으며, 60대 이상에서는 폐암 사망률이 가장 높았습니다.

    암 다음으로는 심장 질환(64.8명), 폐렴(57.5명), 뇌혈관 질환(47.3명), 자살(27.3명) 순으로 사망률이 높았습니다.

    암 이외에 전년 대비 사망률이 증가한 원인은 패혈증(13.0%), 폐렴(10.4%), 만성 하기도 질환(5.1%) 등이었습니다.

    교통사고와 같은 운수사고(-5.1%), 뇌혈관질환(-4.6%), 알츠하이머병(-4.2%) 등은 사망률이 감소했습니다.

    댓글

    (0)
    ※ 댓글 작성시 상대방에 대한 배려와 책임을 담아 깨끗한 댓글 환경에 동참에 주세요.
    0 / 300

    많이 본 기사

    랭킹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