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후

    날짜선택
    • 서울·부산세관 X-ray 장비 절반 노후...안도걸 "마약 방어망 뚫릴 위기"
      올해 마약 밀수가 폭증하는 가운데 서울·부산세관의 핵심 탐지 장비인 X-ray 검색기 노후화가 심각하다는 지적이 나왔습니다. 국회 기획재정위원회 소속 더불어민주당 안도걸 의원(광주 동남을)에 따르면, 올해 7월까지 전국 세관 적발 마약류는 2,736kg으로 지난해 전체(769kg)의 3.5배를 넘어섰습니다. 이 중 서울세관(1,696kg)과 부산세관(650kg)만으로 85% 이상을 차지하며 사실상 마약 밀수 최전선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두 세관의 X-ray 장비는 절반 이상이 수명을 다했습니다. 서울
      2025-10-02
    • "노후 생활비 월 350만 원 필요…실제는 120만 원 부족”
      국민들이 생각하는 노후 적정 생활비는 월 350만 원이지만 실제 준비 가능한 금액은 이보다 120만 원가량 부족한 것으로 조사됐습니다. KB금융지주 경영연구소가 지난 5월 30일부터 6월 18일까지 전국 25∼74세 남녀 3천 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2025 KB골든라이프 보고서'에 따르면, 노후 최소 생활비는 월 248만 원, 여행·여가 등 여유 있는 삶을 위한 적정 생활비는 월 350만 원으로 집계됐습니다. 이는 2023년 조사보다 각각 3만 원, 19만 원 줄어든 수치입니다. 하지만 실제 조달할 수
      2025-09-28
    • 국내 인프라 10개 중 4개 노후화..제2의 '정자교 붕괴' 올까
      댐 등 국내 인프라 시설 10개 중 4개가 6년 뒤에는 지은 지 30년이 넘는 노후 시설물이 되는 것으로 조사됐습니다. 한국건설산업연구원(건산연)의 '글로벌 지표로 본 한국 인프라 경쟁력 현황 및 시사점' 보고서에 따르면 2030년 기준으로 주요 인프라 시설의 약 41%가 경과연수 '30년 이상'이 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인프라별로는 댐의 노후화가 가장 심각한데, 2030년에는 전국 댐의 75.2%가 준공 30년을 넘습니다. 30년 이상 노후 공동구(상하수도·전화·케이블·가스관 등을 함
      2024-01-21
    • '상수도관 터져 생긴 싱크홀' 6년간 40건…노후 상수도관 문제
      파열된 상수도관에서 새 나온 수돗물로 인한 싱크홀이 지난 6년간 40건으로 나타났습니다. 7일 진성준 더불어민주당 의원(국회 환경노동위원회)이 환경부에서 받은 자료를 보면 2018년부터 올해 9월까지 상수도관 파열로 인해 지반 침하가 일어난 이른바 씽크홀 사고가 40건으로 나타났습니다. 이런 상수도관 파열 사고를 근본적으로 막기 위해선 노후관을 교체해야 합니다. 하지만 노후관이 워낙 많아 한꺼번에 교체하기는 어려운 상황입니다. 2021년 기준으로 설치한 지 20년 이상 된 상수도관이 전체 23만 3,701㎞의 35.9% (8만
      2023-10-07
    • 해경 형사기동정 60% 내구연한 초과 "신속 교체 필요"
      해양경찰의 형사기동정 60%가 내구연한을 초과한 것으로 드러났습니다. 신정훈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해양경찰청으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현재 해경이 보유한 형사기동정 20척 중 12척이 내구연한을 초과해 운용 중입니다. 함정 종류별로는 형사기동정이 60%, 방제정이 18.6%, 경비함정이 17.6% 내구연한을 초과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해경 보유 함정의 내구연한은 강선의 경우 20년, 알루미늄 및 FRP선박은 15년입니다. 이와 관련해 해경은 보유한 형사기동정 총 20척 중 6척을 올해 10월부터 2024년 2월
      2022-09-22
    • [키워드브리핑]전라남도 전국 최고 수출 증가율 등
      - 가장 높은 수출 증가율 - 고령층 절반이상 연금 못 받아 - 2022 대한민국 소싱위크 - 6월 생산자물가가 역대 최고 키워드로 알아보는 ‘경제’입니다. 1. 전라남도가 코로나19 유행 장기화와 고유가 등의 악재를 이겨내고 전국에서 가장 높은 수출 증가율을 기록했습니다. 전라남도가 올해 상반기 전국 최고의 수출 증가율을 기록했습니다. 지난해 상반기보다 약 32퍼센트 증가해 전국에서 가장 높은 증가율을 보였는데요. 전남에 이어 대구가 2위, 인천이 3위를 기록했습니다. 석유제품 수요 확대 등이 수출
      2022-07-27
    1

    랭킹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