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앵커멘트 】
장애인과 노인 등 교통약자들의 편의를 위해
대당 1억 원씩 지원되는 저상버스 보조금이
엉뚱한 곳에 쓰이고 있습니다.
버스회사들이 금융권에 담보로 맡기고 대출이나할부금을 받은것으로 드러났습니다.
백지훈 기자의 보돕니다.
【 기자 】
교통약자가 오르고내리기 편하도록 제작돼 광주시내에서 운행 중인 저상버스는 87대.
도입 예산 172억 4천만 원 중 60%인 99억8천만 원이 국가 보조금입니다.
시내버스 회사들은 지자체와 국토교통부의 승인도 없이 저상버스 35대를 금융권에 담보로 맡기고 29억 8천만 원을 빌려 자신들이 부담해야할 차값을 치렀습니다.
전남에서도 전체 저상버스 44대 중 80%인 35대를 담보로 잡히고 24억 2천만 원을 빌려 썼습니다
▶ 싱크 : 버스업체 관계자
- "어쩔 수 없는 경우죠. 버스 회사가 어렵다보니까. 자가용 살 때 전액주는 사람이 어디 있겠어요? 버스업체는 더군다나 돈 없는데 몇억씩 하는 저상버스를 100% 돈 주고 사기는 힘든 거죠"
하지만 광주시와 전라남도는 저상버스 보급대수를 늘리려고만 했을뿐 이런 사실을 전혀 몰랐습니다
▶ 스탠딩 : 백지훈 기자
- "국고보조금 사업에 대한 정당한 승인 절차가 무시돼다보니 일부 시내버스 업체에서는 저상버스를 담보로 대출을 받기까지 했습니다"
광주의 시내버스업체는 한 걸음 더 나아가 저상버스 5대를 담보로 맡기고 3억4천만 원을 빌려회사 운영비 등에 썼습니다.
▶ 싱크 : 대중교통 담당자
- "할부원금에 대한 담보대출은 상관없는데 제2, 제3의 담보를 설정해 가지고 하는 것은 조금 문제가 있죠 "
행정기관의 허술한 관리와 업체들의 도덕적 해이로 교통약자의 편의를 위한 저상버스 보조금이 줄줄 새고 있습니다. kbc 백지훈입니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