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앵커멘트 】
경제브리핑입니다.
오늘은 오주연 부동산 컨설턴트와 함께 9.13부동산 대책 이후 아파트 시장 변화에 대해 이야기 나눠보겠습니다.
【 기자 】
1. 정부의 9.13부동산 대책 이후에 광주지역 아파트 시장 변화가 궁금한데요. 매매가격이나 전세가격 등 전체적으로 봤을 때 어떤 특징을 보이고 있나요?
- 네. 광주광역시는 바뀐 청약 제도에도 불구하고, 신규 아파트에 대한 관심도는 여전히 커 높은 청약률을 보여줬는데요.
최근 광주 아파트 시장 현황을 보면 매매가와 전세가는 꾸준히 상승하고 있습니다.
그중에서도 남구는 현재 매매시세가 계속 오르고 있고, 서구는 전세가격 상승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광주 아파트의 단기적 시장을 보면 미분양 물량도 적고, 매수심리도 여전히 높아서 당분간은 상승세를 이어갈 것으로 보입니다.
2. 광주에선 특히 아파트 경매시장 열기가 뜨거워지고 있는데요. 어느 정도 상승세를 보이고 있나요?
- 최근 광주지역 아파트 시장의 뜨거운 열기가 법원 경매시장까지 확산이 되고 있습니다.
서울의 아파트 경매시장은 찬바람이 불고 있지만 대전과 광주의 경매 시장은 후끈 달아오르고 있는데요.
광주는 지난 9월과 10월 두 달 연속 낙찰가율이 100%를 돌파했습니다.
낙찰가율이 100%를 넘은 경우는 2016년 이후 처음인데요.
부동산 침체 속에서도 상승세를 유지해오고 있습니다.
정부의 보유세 인상과 대출 규제로 인해 아파트 투자 바람이 규제 청정지역인 대전과 광주 아파트 시장으로 옮겨 불고 있는 상황입니다.
3. 광주 아파트 경매시장이 이렇게 상승세를 보이는 이유가 규제청정지역이기때문이라고 하셨는데, 어떤 의미인가요?
- 네. 대전이나 광주는 투기지역, 투기과열지구, 청약조정대상지역 중에 한군데도 속하지 않아서 비규제지역이라 불리는데요.
이 때문에 정부의 부동산 대책인 보유세 인상과 대출규제 그리고 청약통장 개편 등의 규제망을 벗어나 있어 이런 현상을 보이고 있는 것 같습니다.
9.13부동산 대책 이후 종합부동산세는 과표 3~6억원 구간을 신설하고, 세율도 인상을 했습니다.
또 규제지역 내에서 신규주택을 구입할시 주택담보대출 규제도 강화 됐는데요.
대전과 광주는 이런 정부의 규제에서 제외가 되다보니 신규 아파트에 대한 관심도에 이어 경매시장까지 영향을 주고 있는 상황입니다.
4. 아파트 시장 상승세가 계속되면 가격이 비정상적으로 높게 평가될 수도 있는 만큼 무리한 투자는 삼가해야 할 것 같은데, 부동산 투자 시 주의할 점이 있다면요?
- 네. 올해까지는 공급물량이 부족했는데요.
하지만 2019년부터는 광주 아파트의 공급물량이 많아집니다.
그동안 꾸준히 가격이 상승했고 동급 지역 대비
아파트 가격이 현재 높게 평가된 시점이기 때문에 이제는 주의를 해야 할 듯 합니다.
특히 광주지역은 전세가율이 높은 지역이라는 점에 주목해야 하는데요.
전세가율이 높다 보니 대출을 이용한 투자가 수도권에 비해서는 비교적 쉽습니다.
이는 갭 투자자들을 유인하는 원인이 되는데요.
정부도 이에 대한 단속을 강화하고 있는 분위기라 최근 가파른 오름세를 보인 특정 일대를 보고 무리한 투자를 하는 것은 삼가 하시는 게 좋을 것 같습니다.
------------------------------------
네, 오주연 부동산 컨설턴트와 함께 이야기 나눠봤습니다.
오늘 말씀 감사합니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