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증 산후출혈 환자 10년 새 2~3배 급증...늦은 출산 탓

    작성 : 2017-08-15 21:12:20

    【 앵커멘트 】
    아기를 출산하다 출혈이 일어나면 산모가 사망까지 이르는 경우가 많은데요.

    치료법의 발달로 이런 '중증 산후출혈 환자'가 요즘은 줄어들 듯 한데 현실은 반대라고 합니다.

    고위험 산모가 많아지면서 그 수가 오히려 급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임소영 기자가 전해드립니다.


    【 기자 】
    37살인 김 모씨는 3년 전 집 근처
    산부인과병원에서 첫 아이를 출산하던 중
    대학병원으로 이송됐습니다.

    출혈이 멈추지 않으면서 혈압이 급격히
    떨어졌기 때문입니다.

    ▶ 싱크 : 김 모씨 (3년 전 중증 산후출혈)
    - "츌혈하고 나면 위험한 상황이 있을 수 있고 자궁을 들어내야 될 수도 있다는 얘기를 많이 들어서 제가 막상 그런 상황이 오게 되니까 겁도 나고 많이 두렵더라고요."


    출산 후에도 출혈이 멈추지 않는 산후출혈은
    산모 사망의 가장 큰 원인입니다.

    목숨을 잃지 않더라도 10년 전만 해도
    환자의 90%가 자궁을
    적출했던 중증 질환입니다.

    하지만 최근엔 출혈이 일어난 혈관 부위를
    일시적으로 막는 치료법으로 자궁적출
    수술 사례가 80%이상 대폭 줄면서
    다음 임신과 출산도 대부분 가능해졌습니다.

    cg
    전남대병원 산부인과 분석 결과
    최근 10년 새 치료법은 발전했지만 산후출혈 환자는 두세 배 가까이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 인터뷰 : 김윤하 전남대병원 산부인과 교수
    - "고령 산모가 많고 쌍둥이 임신 등 다태 임신이 많아서 분만 후에 자궁 수축이 덜 할 수있는 고위험 산모들이 많기 때문에 산후출혈이 많게 됩니다."

    위급한 산모의 건강과 생명을 지키기 위해서는
    신속하고 체계적인 지역 의료기관 사이의
    이송과 협진체계 구축이 시급합니다.

    kbc 임소영입니다.

    댓글

    (0)
    ※ 댓글 작성시 상대방에 대한 배려와 책임을 담아 깨끗한 댓글 환경에 동참에 주세요.
    0 / 300

    많이 본 기사

    랭킹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