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집중]도시철도 건설비 마련 해법은?

    작성 : 2014-12-01 20:50:50

    이제 관건은 도시철도 2호선 건설에 광주시가 충당해야 할 8천억원을 어떻게 마련할 것인가에 달려 있습니다.(c.g.1)







    2017년부터 6년동안에는 연간 천억 원 이상을 마련해야 하기 때문에 광주시의 부담이 이만저만이 아닙니다.







    (c.g.2)광주시의 연간 투자 가용재원이



    3천억 원에 그치고 있고 U대회 준비 등으로 8천억 원의 부채를 안고 있어 재정난이



    심각해 질 수 있다는데 문제의 심각성이



    있습니다











    현안 사업의 우선 순위를 조정하고, 국비 확보를 통해 부족한 재원을 충당한다는



    계획이지만 모든게 쉽지않아 보입니다.







    정지용 기자의 보돕니다.



    광주 도시철도 2호선 건설비는



    모두 1조 9천억 원







    이 중 40%인 8천억 원 정도를 광주시가



    부담해야 합니다.







    (c.g.)공사가 집중적으로 이뤄지는 내후년부터 6년간 매년 평균 천 85억 원씩 투입될 것으로 전망됩니다.







    연간 투자가용재원이 3천억 원에 불과한



    광주시로서는 만만찮은 부담입니다.







    인터뷰-강신기/광주시청 기획조정실장(11월 28일 시민회의)







    광주시는 일단 시비 부담액 중 85%를



    지방채를 발행해서 충당할 계획입니다.







    예산의 직접 투자를 최소화시켜



    재정운영의 숨통을 트고, 분할 상환으로



    부담을 분산시키는 방법입니다.







    또 중앙 정부를 상대로 더 많은 예산을



    확보하고 현안사업의 우선 순위를 다시



    조정할 계획입니다.







    아무튼 공사 기간 동안 대형 토목사업을



    최소화하고 복지비와 윤 시장의 공약예산을 조정하는 등 허리띠를 졸라맬 수 밖에 없는 상황입니다.







    인터뷰-윤장현/광주시장



    "우선 순위 조정, 감내해 줘야 합니다"







    하지만 지난해말 광주시의 부채가



    8천억 원에 이르고, 해마다 이자로



    300억 원 안팎이 빠져나가고 있습니다.







    상환 시점이 돌아오는 2천 22년부터



    공사비 마련과 부채상환 등 2가지 문제를 모두 해결해야 해서 광주시의 2호선은



    논란 끝에 건설로 결정이 났지만, 후폭풍은



    만만치 않을 전망입니다.







    kbc정지용입니다.

    댓글

    (0)
    ※ 댓글 작성시 상대방에 대한 배려와 책임을 담아 깨끗한 댓글 환경에 동참에 주세요.
    0 / 300

    많이 본 기사

    랭킹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