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선 5기때 의욕적으로 추진됐던 31사단과 방공포대 등 광주 도심 내 군 시설 이전 사업이 줄줄이 답보상태를 보이고 있습니다.
지난 6.4선거를 앞두고 광주시가 성급하게 발표하면서 공신력만 추락시켰다는 비판이 일고 있습니다.
정지용 기자의 보돕니다.
지방선거를 석 달 앞둔 지난 3월 당시 강운태 시장은 무등산 정상에 있는 방공포대의 이전에 대해 국방부와 합의했다고 밝혔습니다.
이전 대상지에 2천 16년 착공해 다음해까지 부대를 옮기겠다며 시기까지 못박았습니다.
인터뷰-강운태/전 광주시장(지난 3월 27일)
하지만, 장미빛 전망에 그칠 가능성이
높습니다.
주무부처인 환경부는 이전비 부담으로 뒤로 미루고 있고 국방부는 환경부로 책임을
돌리면서 진척이 없는 전혀 상탭니다.
오히려 군 부대 이전사업이 알려지면서
공군의 거센 반발만 샀습니다.
인터뷰-김동수/광주시청 공원녹지과장
31사단의 광주 외곽지역 이전도 답보상태를 보이고 있습니다.
광주시는 2018년까지 이전을 끝내겠다는
구체적인 계획까지 발표했지만 국방부와
논의도 제대로 하지 않았습니다.
당시 협의했던 김관진 국방장관은 청와대로 자리를 옮겼고 이전비 4천억 원도 발목을 잡고 있습니다.
평동 군 훈련장의 상무대 이전사업은
성사될 듯 하다가 장성군의 반대에 부딪혀 1년째 제자리를 맴돌고 있습니다.
이처럼 (c.g.) 민선 5기에 추진됐던 도심내 군 시설 이전 사업이 줄줄이 표류하면서
비판의 목소리가 커지고 있습니다.
곧 성과가 날 것처럼 발표한 지 6개월 만에 설익은 계획으로 알려지면서 광주시가 선거를 앞두고 성급한 발표로 결국 공신력에
큰 상처를 남겼습니다.
결국 su//광주도심내 군부대 이전사업은
민선 6기 윤장현 광주시장이 해결해야 할 과제로 남게 됐습니다. kbc 정지용입니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