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구감소지역 ‘생활인구’ 특성 알아보니…충북 단양 체류인구 비율 가장 높아

    작성 : 2024-01-01 17:52:42
    통계청, ‘생활인구’ 시범 산정 결과 첫 공표
    7개 시·군 모두 등록인구보다 체류인구 수가 많아
    ’24년 89개 지역 확대…다양한 지원정책 마련 기대
    ▲ 등록지역별 체류인구 비중(’23.6월) : 통계청 

    통계청이 인구감소 7개 시·군을 대상으로 시범적으로 실시한 ‘생활인구’ 산정 결과를 1일 최초로 공표했습니다.

    통계청 인구감소지역 ‘생활인구’에 따르면, 7개 시범지역 모두 등록인구보다 체류인구 수가 많았으며 관광유형인 단양은 8.6배로 가장 높았습니다.

    통계청은 7개 시범지역을 △관광유형(충북 단양군, 충남 보령시), △군인유형(강원 철원군), △통근유형(전남 영암군, 경북 영천시), △외국인유형(전북 고창군), △통학유형(경남 거창군)으로 구분했습니다.

    이어 4~6월 주민등록, 외국인등록 등의 자료와 통신3사 통신모바일 자료를 가명결합한 데이터를 바탕으로 지역별 생활인구, 체류인구의 규모를 포함하여 체류특성 및 숙박특성 등을 다각적으로 분석했습니다.

    관광유형 지역의 경우 체류일수는 다른 지역에 비해 짧았으며, 30세 미만의 비중이 타 지역보다 높아 젊은층이 짧게 관광하는 특징을 보였습니다.

    또한 관광유형은 숙박형 체류인구의 비중이 타 지역보다 크게 나타났습니다.

    통근유형 지역에서는 체류인구 중 남성의 비중이 특히 높고, 평균 체류일수가 많은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이는 비숙박형 및 주중 체류인구의 비중이 높아 인근 지역에서 출퇴근하는 사람이 많음을 시사했습니다.

    군인유형 지역에서는 통근유형과 마찬가지로 체류인구 중 남성의 비중이 높고 평균 체류일수가 많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남성의 경우 숙박형 체류인구 비중이 컸습니다.

    통계청은 이번 시범산정을 통하여 보다 정확한 생활인구 산출 방안을 마련할 수 있었으며, 2024년부터는 89개 인구감소지역 전체에 대한 생활인구를 산정하여 분기별로 공표할 예정입니다.

    이형일 통계청장은 “통계청이 산정하는 생활인구를 통하여 소멸 위기에 처한 인구감소지역에 활력을 불어넣는 다양한 지원정책이 수립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라고 밝혔습니다.

    #인구감소지역 #생활인구 #체류인구 #충북 단양

    댓글

    (0)
    ※ 댓글 작성시 상대방에 대한 배려와 책임을 담아 깨끗한 댓글 환경에 동참에 주세요.
    0 / 300

    랭킹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