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계 초과저축 100조 돌파..부동산 폭등 부르나

    작성 : 2023-07-25 17:02:46
    코로나19 3년간 가계 초과저축 100조 원 돌파
    소비 줄고 정부 지원 등으로 소득 증가 영향
    예금 주식 등 금융자산 확대..대출상환 미미
    주택 구입 몰리면 부동산 시장 요동 '불가피'
    ▲ 자료이미지 

    코로나19 팬데믹 3년간 우리나라 가계 초과저축이 전보다 100조 원 이상 늘어난 것으로 드러났습니다.

    방역 등으로 소비가 제약된 가운데 정부 지원으로 소득은 늘었기 때문으로 보입니다.

    가계는 이 '초과 저축'을 예금이나 주식 등 금융자산을 불리는데 썼지만, 대출을 적극적으로 갚지는 않았습니다.

    현금성 자산이 주택 구입에 흘러들 경우 부동산 시장이 요동칠 가능성이 커 관계당국은 현금 흐름을 면밀히 들여다보고 있습니다.

    ▲ 우리나라 가계 초과저축 규모 추정 사진 : 연합뉴스 

    한국은행이 24일 발표한 '팬데믹 이후 가계 초과저축 분석과 평가' 보고서에 따르면 코로나19 3년간(2020∼2022년) 가계부문 초과저축 규모는 101조 원에서 129조 원으로 추산되고 있습니다.

    초과저축 증가 원인으로는 팬데믹 직후의 소비 감소와 지난해 소득 증가 등이 꼽혔습니다.

    가계는 늘어난 소득을 소비나 부채 상환, 자산 취득에 쓰지 않고, 예금이나 주식 등 금융자산을 늘렸습니다.

    한은 통계를 보면, 우리나라 가계 금융자산은 3년간 현금·예금·주식·펀드를 중심으로 1,006조 원 늘어, 2017∼2019년(591조 원)의 거의 두 배에 달했습니다.

    이처럼 가계의 금융 자산이 급증한 이유에 대해 한은은 "실물경제와 금융의 큰 불확실성 때문에 향후 추이를 관망하는 것으로 판단된다"고 분석했습니다.

    ▲ 초과저축 요인 분석 사진 : 연합뉴스 

    즉 "향후 실물경제 측면에서 소득 충격이 있을 때 초과 저축은 완충역할을 하게 될 것"이라는 겁니다.

    하지만 초과저축은 부동산 시장과 금융시장 불안의 잠재 요인으로도 지목됐습니다.

    최근 주택가격 상승 기대가 커지는 가운데, 가계 초과저축이 대출과 함께 주택시장에 몰리게 될 경우 가격 폭등 등 부동산 시장을 요동치게 만들 수 있습니다.

    이 경우 주택가격은 상승하고 가계 대출상환은 지연되는 등 금융 안정에 부정적이라고 덧붙였다.

    댓글

    (0)
    ※ 댓글 작성시 상대방에 대한 배려와 책임을 담아 깨끗한 댓글 환경에 동참에 주세요.
    0 / 300

    랭킹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