줄어드는 듯했던 미분양 주택이 5개월 만에 다시 7만 가구대로 불어났습니다.
이 중 다 짓고도 분양하지 못한 악성 미분양이 2만 1,000여 가구입니다.
악성 미분양이 2만 가구를 넘어선 건 2014년 7월 이후 처음입니다.
국토교통부가 5일 발표한 '2024년 12월 주택통계'에 따르면 지난달 말 기준 전국 미분양 주택은 7만 173가구로 집계됐습니다.
미분양은 지난해 6월 7만 4,037가구까지 늘었으나 7월 7만 1,822가구로 감소한 뒤 5개월 연속 줄어드는 추세였습니다.
그러다 지난해 12월 한 달 만에 5,027가구(7.7%)가 훌쩍 늘었습니다.
수도권 미분양은 1만 6,997가구로 전월보다 17.3%(2천503가구) 늘었고, 지방은 5만 3,176가구로 5.0%(2천524가구) 증가했습니다.
국토부 관계자는 "지난해 11월 전국에서 분양한 주택이 2만 9,000가구로, 예년보다 물량이 늘어 12월 미분양이 증가한 측면이 있다"며 "분양 지역 역시 선호 지역이 아니었다"고 말했습니다.
2023∼2024년 전국의 월평균 분양 물량은 1만 6,000가구입니다.
수도권 미분양 대부분은 경기도에서 나왔습니다.
경기도 미분양은 2,433가구 증가한 1만 2,954가구였습니다.
지방에서는 울산에서 대거 미분양이 발생했습니다.
울산 미분양은 1,420가구 늘어난 4,131가구, 대구 미분양은 632가구 증가한 8,807가구입니다.
전국에서 미분양 주택이 가장 많은 곳은 경기이며 대구·경북(6,987가구), 경남(5,347가구), 부산(4,720가구)이 뒤를 이었습니다.
악성 미분양으로 분류하는 준공 후 미분양 주택은 지난달 말 2만 1,480가구로 전월보다 15.2%(2836가구) 늘었습니다.
악성 미분양이 2만 가구를 넘어선 것은 2014년 7월(2만 312가구) 이후 10년 5개월 만에 처음입니다.
악성 미분양은 2023년 8월부터 17개월 연속 증가세를 이어가고 있습니다.
지난달 늘어난 악성 미분양의 60%가량은 대구·경북 지역에서 발생했습니다.
대구의 악성 미분양은 전국에서 가장 많습니다. 지난달 862가구 늘어나 2,674가구가 됐습니다.
경북 악성 미분양은 866가구 늘어난 2,237가구입니다.
제주(1,746가구)에서는 408가구, 경기(272가구)에선 377가구가 늘었습니다.
악성 미분양이 계속해서 쌓여 가자, 정부와 여당은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DS 규제 한시적 완화 등 비수도권 미분양 해소 대책 검토에 들어갔습니다.
국민의힘은 지난 4일 경제 분야 민생대책 점검 당정협의회에서 정부에 비수도권 준공 후 미분양 주택에 대한 DSR 규제를 한시적으로 완화해달라고 요청했습니다.
국토부는 지방 미분양 주택을 매입하는 기업구조조정 부동산투자회사(CR리츠)가 올해 상반기 중 출시될 수 있도록 지원하기로 했습니다.
CR리츠는 여러 투자자로부터 자금을 모아 미분양 주택을 사들여 임대로 운영하다가 부동산 경기가 회복되면 매각해 수익을 내는 구조입니다.
지난해 3월 정부는 미분양 해소를 위해 CR리츠를 10년 만에 다시 도입하겠다고 발표했으나, 리츠 등록 허가는 아직 한 건도 없습니다.
미분양 사업장을 보유한 사업자는 조금이라도 값을 높여 팔려 하고, CR리츠는 매입 가격을 낮추려다 보다 가격 협상이 난항을 겪고 있기 때문입니다.
Copyright@ KWANGJU BROADCASTING COMPANY. all rights reserved.
랭킹뉴스
2025-02-05 09:31
스웨덴 학교서 총기 난사로 10명 사망 "사상최악"
2025-02-04 23:21
지적장애 친딸 수십차례 성폭행 50대..경찰 수사
2025-02-04 21:56
모레까지 20cm 더 온다..동장군 기승
2025-02-04 16:54
폭설 속 임산부, 119 전화 안내에 무사히 다섯째 출산
2025-02-04 15:11
전광훈 교회 특임전도사 1명 '서부지법 난동' 관련 추가 체포
댓글
(0) 로그아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