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앵커멘트 】
지난 80년 5.18 당시 시민군이 무기를 탈취하고, 교도소를 습격해서 계엄군이 발포를 했다는
기록이 조작됐다는 경찰의 공식 보고서가 나왔습니다.
전남 도청 앞 발포에 대해 자위권 확보 때문이라던 신군부의 주장을 정면으로 뒤집은 것이어서 5.18진상 규명에 새로운 전환점이 될 것으로 보입니다.
보도에 이동근 기잡니다.
【 기자 】
5.18 직후 보안사에서 보존했던 전남 경찰국의 치안일집니다.
첫 발포가 있던 80년 5월 21일 오후 1시에 앞서
시민들이 나주의 경찰 지서에서 총기를
탈취하고 장갑차도 빼앗았다고 기록돼 있습니다.
반면 나주 남평 지서에서 근무한 경무과장의
감찰 진술서에는 집단 발포 이후 30분이 지난
오후 1시 30분쯤 시민들이 몰려 왔다고 돼 있습니다.
<끝>
시민들이 무장했기 때문에 발포가 이뤄졌다는
신군부의 주장을 뒤집는 근거로 군이 경찰 내부 문서까지 조작했음을 알 수 있습니다.
▶ 싱크 : 강성복/전남지방경찰청장
- "그 당시 근무했던 사람의 진술이 앞에 나와 있는 (조작된 문서를) 반박하는 것으로 시간대가 완전히 다른 내용입니다"
그 동안 침묵해온 경찰이 5.18과 관련해 첫 입장을 내놨습니다.
당시 근무 경찰관들의 증언과 기록을 토대로
작성한 90쪽 짜리 보고서를 통해 군 투입의
필요성이 없었고 왜곡과 조작 투성이였다는 주장을 제기했습니다.
현장에 동원됐던 기동대원들이 휴식을 취하고
심지어 야유회를 갈만큼 치안에 문제가 없었다고 밝혔습니다.
또 북한군 개입과 교도소 습격설은 근거가 없고
시민군 점령 하에 약탈과 강도가 판치는
무법천지였다는 군의 발표도 왜곡된 것이라고
주장했습니다.
▶ 싱크 : 박인배/전남경찰청 홍보담당관
- "큰 혼란없이 질서가 유지되고 있었음에도 군이나 정보기관은 약탈과 살인, 강도가 판치는 무법천지로 기술하고 있었습니다"
경찰은 계엄군의 과격 진압을 제지하지 못한 점과 그 동안 침묵해온 것에 대해 사과했습니다.
kbc 이동근입니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