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조국 전 법무부 장관이 "무도한 윤석열 정권 종식을 위한 불쏘시개가 되겠다"며 신당 창당을 선언한 것에 대해 김병민 전 국민의힘 최고위원은 "언어 선택이 좀 거칠다"며 "자녀 입시비리 유죄 판결 등 본인 치부부터 돌아보라"고 냉소했습니다.
김병민 전 최고위원은 14일 KBC '여의도초대석'에 출연해 "조국 전 장관의 정치 참여에 대해 진보 보수를 가리지 않고 비판적으로 보시는 분들이 많을 것이다. 이유는 아주 간단하다. 이미 법원에서 두 번이나 과거 문제에 대해서 유죄로 판단을 내렸기 때문"이라며 이같이 냉소했습니다.
김 전 최고위원은 그러면서 "대법원에서 확정이 되면 조 전 장관이 국회의원직을 가지고 있다 하더라도 국민 혈세로 운영되는 그 국회의원직을 유지하지 못하게 된다"며 "국민 참정권을 방해하는 것"이라고 쏘아붙였습니다.
"내가 갖고 있는 치부가 크면 클수록 그 치부를 가리기 위해서 엉뚱한 데 손가락질을 하는 경우들이 왕왕 정치권에 발생하는데 조 전 장관 스스로의 문제를 가리기 위해서 너무 다른 쪽에 악한 악담들을 쏟아내는 건 아닌지 자성하길 바란다"고 거듭 쏘아붙였습니다.
이에 진행자가 "조 전 장관도 서울대 법대 교수를 지낸 형법 전문가인데 이런 내용을 모르지는 않을 텐데 그럼에도 신당을 만들어 정치를 하겠다고 하는 의도가 있을 텐데"라고 묻자 김병민 전 최고위원은 "이재명 대표의 선례를 본 것이 아닌가 싶다"고 비꼬아 답했습니다.
"이재명 대표에게도 굉장히 많은 사법리스크가 덧씌워져 있다. 아마 조 전 장관 입장에서는 지금 본인에게 덧씌워진 사법적인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유일한 길이 정치적으로 국민들에게 선택받았다라고 하는 정치적인 문제로 모든 것들을 이겨내려고 하는 목적이 있는 것이 아닌가 생각한다"는 것이 김병민 전 최고위원의 말입니다.
이에 진행자가 "사법 영역을 정치 영역으로 치환을 해서 다른 문제로 프레임을 만들어보겠다 그렇게 보고 계신 거냐"고 다시 묻자 김병민 전 최고위원은 "그런 심산이 있다고 판단이 된다"고 답했습니다.
김병민 전 최고위원은 그러면서 "하지만 대한민국의 민정수석 또 법무부 장관까지 지냈던 공직자로서 해야 되는 역할은 아니라고 아마 많은 국민들이 생각할 거라고 본다"며 거듭 냉소 섞인 비판을 쏟아냈습니다.
"지난 2020년 21대 총선 과정에서 열린민주당이 조국 전 장관을 참칭했다면 이제는 본인이 직접 조국의 이름으로 나서서 열린민주당 시즌2를 만들겠다라고 하는 심산"이라는 것이 김병민 전 최고위원의 냉소입니다.
이어 "유권자분들께서 여기에 얼마큼 표를 던지는지 여부에 따라 조국 전 장관이 국회의원 될 수 있는 가능성은 달라지겠죠"라며 "하지만 이 가능성이 높아지면 높아질수록 역설적으로 민주당에게는 정치적으로 매우 어려운 길이 열릴 수 있다"고 재차 냉소했습니다.
"민주당은 '불필요한 논란과 갈등, 공격만 낳을 수 있다. 자중하라'며 조국 신당에 선을 긋고 있다"는 질문엔 김병민 전 최고위원은 문재인 전 대통령과 정청래 수석 최고위원의 사실상 "지지 발언"을 거론하며 "국민들께서 보시기에 다른 정치적 견해를 갖고 있는 전혀 다른 정파라고 생각하지는 않을 것 같다"고 꼬집었습니다.
"지금 당장 총선 유불리에 따라서 조금 떨어져 있긴 합니다마는 문재인 정권에서 함께 몸 담았던 인사들이고 조국 전 장관과 같이 교류했던 수많은 사람들이 민주당 내에 그대로 남아 있는 것 아니겠냐"며 "국민들이 지켜보시기에는 선거가 끝나면 또 언제 그랬냐는 듯 다시 합치는 정당이 되지 않겠느냐라고 판단하실 텐데"라고 거듭 비꼬았습니다.
"초록은 동색, 같은 뿌리다, 그런 말인 거냐"는 확인 질문에 "과거에 열린민주당을 한번 기억해 보십시오"라며 "최강욱 전 의원을 비롯해 한때 다른 정당인 것처럼 출발했지만 결국은 이런 강성 진영의 인사들이 민주당 내의 주류 목소리까지 이어진 바가 있었거든요. 지금도 그런 민주당의 현재는 크게 바뀌지 않았다 생각한다"고 김병민 전 최고위원은 답했습니다.
네이버나 다음카카오 포털 및 유튜브 검색창에 '여의도초대석'을 치면 더 많은 콘텐츠를 볼 수 있습니다.
#조국신당 #민주당 #초록은동색 #여의도초대석 #김병민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