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컬라이저 설치 규정 제각각..여수·광주·포항경주공항도 콘크리트 둔덕

    작성 : 2025-01-01 21:00:49 수정 : 2025-01-02 00:40:14
    ▲ 라인 설치된 무안공항 방위각 시설 [연합뉴스]


    제주항공 여객기 참사의 원인 중 하나로 로컬라이저(착륙 유도 장치) '콘크리트 둔덕'이 지목되고 있는 가운데, 각 공항마다 제각기 다른 형태로 설치된 것으로 확인되면서 점검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옵니다.

    1일 항공업계 등에 따르면 로컬라이저가 콘크리트 구조물 형태로 설치된 곳은 전남 무안국제공항 외에 여수공항과 광주공항, 포항경주공항 등입니다.

    사고 여객기가 착륙한 무안공항의 활주로 끝에는 2m 높이의 콘크리트 구조물에 흙더미가 덮여있는 방식의 둔덕에 로컬라이즈가 설치돼 있습니다.

    일각에선 사고기가 속도를 줄이지 못하고 충격하면서 피해가 커졌다는 추정이 제기됩니다.

    여수공항의 경우 로컬라이저가 콘크리트 구조물이 매립된 4m 높이 둔덕 위에 설치됐는데, 로컬라이저 높이까지 더하면 6m에 이릅니다.

    광주공항도 같은 형태로 만들어진 1.5m 높이의 둔덕 위에 로컬라이저가 세워졌습니다.

    포항경주공항 역시 콘크리트와 성토 등으로 2m 높이의 구조물 위에 로컬라이저가 세워져 있습니다.

    이 공항에서는 지난 1999년 3월 여객기가 착륙 중 활주로를 이탈해 로컬라이저 구조물과 충돌한 뒤 공항 외곽 언덕에 정지하는 사고가 나기도 했습니다.

    이와 관련 국내외 항공 전문가 등은 비상 상황 시 부서지기 쉽게 만들어야 한다고 지적했습니다.

    국내 공항 가운데 실제로 안전을 고려해 부서지기 쉬운 재질로 로컬라이저를 설치한 곳도 있습니다.

    김해국제공항의 로컬라이저는 높이 2m의 금속 재질로 구성된 구조물에 설치됐는데, 비상 상황 시 항공기가 충돌할 경우 부러지기 쉽게 설계돼 안정성을 확보했다는 평가를 받습니다.

    제주국제공항도 로컬라이저를 철제구조물(H빔) 위에 설치해 불시착한 비행기가 밀고 나갈 수 있도록 했습니다.

    인천국제공항, 대구국제공항 등 대부분 공항은 지면 위로 노출된 별도의 구조물 없이 평탄면 위에 로컬라이저가 설치됐습니다.

    댓글

    (0)
    ※ 댓글 작성시 상대방에 대한 배려와 책임을 담아 깨끗한 댓글 환경에 동참에 주세요.
    0 / 300

    많이 본 기사

    랭킹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