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수원, 원전 수명 연장? 폐로 비용 감당 어려움 때문일 것" [와이드이슈]

    작성 : 2024-06-26 10:40:12
    한수원, 한빛 1, 2호기 포함 전국 원전 10기 전방위 수명 연장 추진
    "원전 1기당 폐로비용 1조 원 추정..이미 폐로 된 월성1호기, 고리2호기 포함 12기 폐로 비용 12조 원 달하지만, 적립금 불과 1조 원뿐"
    "포화상태인 고준위핵폐기물(사용후핵연료) 처리 비용 23조 원 적립, 전문가들 120조 이상 필요 추정..원전 폐로시 비용 적립 여력 줄어 수명 연장 추진 추측도"
    전남 영광 한빛원전 1, 2호기에 대한 수명 연장절차가 진행 중인 가운데, 한국수력원자력(한수원)이 전국의 원전 10기의 수명 연장을 추진하는 이유가 원전 1기당 1조 원에 달하는 비용 부담 때문이라는 주장이 나왔습니다.

    안종철 한빛원자력안전협의회 위원장은 24일 KBC 뉴스와이드에서 "한수원이, 정부가 (원전) 수명 연장을 하겠다는 것은 지금 한수원이 수명 연장을 하지 않았을 때 굉장히 큰 문제에 도달할 수 있는 부분이 있어서 그런 것 아닌가라는 의심을 하고 있다"며 이같이 말했습니다.

    근거로는 "(한수원이) 지금 단순하게 한빛 1, 2호기만 수명 연장을 하는 게 아니고, 고리 2, 3, 4호기, 한빛 1, 2호기, 한울 1, 2호기, 그다음에 월성에 있는 2, 3, 4호기를 수명 연장하려고 하고 있다"는 점을 들었습니다.

    "(수명 연장 추진 원전이) 무려 10개나 되는데 이 10기를 실질적으로 폐로를 하려고 하면 (원전) 1기당 폐로 하는 금액이 약 1조 정도라고 봤을 때 (이미 폐로가 된) 월성 1호기하고 고리 2호기까지 철거하는 상황까지 합치면 약 12조 원이 들어간다"고 추정했습니다.

    안 위원장은 이어 "(폐로 비용이) 12조 원이 들어가는데 이 비용이 다 적립이 돼 있냐라고 하면 1조 정도만 적립이 돼 있고 나머지는 장부상으로만 존재한다"고 지적했습니다.

    그러다가 보니 "실질적으로 (수명 연장 없이) 폐로가 들어가 버리면 이걸(비용을) 감당해 낼 수 있는 부분이 없지 않은가 이런 생각이 드는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안 위원장은 원전 폐로뿐 아니라 고준위 핵폐기물 처리 문제 역시 논란이 굉장히 많다고 우려했습니다.

    구체적으로 "고준위 핵폐기물(사용후핵연료) 같은 경우는 지금 현재 (처리) 기금으로 걷어져 있는 게 약 23조 정도인데, 많은 전문가들은 (처리 비용이) 120조에서 150조 정도가 들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고 지적했습니다.

    결국 "실질적으로 사용 후 핵연료와 관련된 폐기 비용, 그러니까 최종 처분까지 가는 비용으로 현재는 (핵폐기물) 한 다발당 (적립금액이) 3억 2천만 원씩밖에 안 되는데 그 액수로는 절대적으로 부족하다"며 "그러다 보니까 (원전) 수명 연장을 해서라도 그런 부분들을 감추고 가려고 하는 것이 아닌지 의심하는 것"이라고 주장했습니다.

    네이버·다음카카오·유튜브 검색창에 'KBC 뉴스와이드'를 검색하면 더 많은 지역·시사 콘텐츠를 볼 수 있습니다.

    댓글

    (0)
    ※ 댓글 작성시 상대방에 대한 배려와 책임을 담아 깨끗한 댓글 환경에 동참에 주세요.
    0 / 300

    랭킹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