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경찰 특별수사본부(특수본)의 자문 역할을 맡고 있는 박준영 금오공대 기계설계공학과 교수는 오늘(13일) 특수본 수사 결과 발표에서 이같이 밝혔습니다.
국립과학수사연구원 밀도 추정 감정서를 토대로 시뮬레이션한 결과, 참사가 발생한 지난해 10월 29일 밤 9시부터 1시간 반 사이 군집 밀도는 ㎡당 6∼10명으로, 피해자들이 당시 받은 힘이 평균 224~560kg의 질량이 중력을 받아 누르는 상황까지 이르렀단 설명입니다.
박 교수는 또 참사가 발생한 해밀턴호텔 옆 골목의 양방향 통행과 구조물이 압사 사고 발생 가능성을 높였다고 분석했습니다.
"사고 골목에서 양방향 통행이 이뤄질 때는 구간 내 인원이 8백 명일 때부터 막힘이 발생하고 압사 발생 확률이 높아지지만, 일방통행일 경우 인원이 1천 명일 때까지도 막힘이 발생하지 않았다"는 겁니다.
또 "병목 구간을 유발하는 구조물이 있으면 밀도에 따라 보행자들에게 102∼153㎏이 누르는 힘이 더 가해진다"면서, "밀집 상태에서 더 큰 힘이 가해지면 엎어져 넘어지기 쉽다는 점에서 구조물이 보행자의 전도 확률을 높였다"고 부연했습니다.
"밀지 않았더라도 넘어질 수 있느냐"는 질문엔 "일정 기준 이상의 압력이 몇 분간 이어지면 누군가 기절하고, 이때 공간이 생기면 그 위로 넘어지는 전도가 발생할 수 있다"고 말했습니다.
사고 재발 방지 대책에 대해선 "밀집도 통제가 없으면 (사고는) 재발할 수 있는 만큼 군중 통제가 제일 중요하다"고 강조했습니다.
댓글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