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오늘(22일) 열린 '서울 2030 정책, 성주류화를 만나다' 포럼에서 손정연 서울 성별영향평가센터장은 '성인지 통계로 보는 서울 청년의 일과 삶'을 주제로 2030 정책에 대해 제언했습니다.
연구에 따르면 10세 이하 아동이 있는 청년 맞벌이 양육자 중 여성은 하루 평균 272분 직장에서 일하고, 114분 가사노동을 하며, 126분 돌봄에 참여하는 것으로 조사됐습니다.
남성의 경우 하루평균 342분 직장에서 일하고 49분 가사노동, 80분 돌봄에 참여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청년 중 '부부가 공평하게 가사 분담을 해야 한다'고 생각하는 비율은 여성(84.1%)이 남성(79.8%)보다 높았고, '아내가 주로 책임을 져야 한다'는 의견은 남성(18.1%)이 여성(10.7%)보다 높았습니다.
자녀가 있는 청년부부가구 가운데 여성의 취업률은 73.4%로 남성(95.5%)보다 22.1%p 낮았습니다.
일과 생활의 양립과 관련해 여성의 연령대별 만족도는 25∼29세 48.4%, 30∼34세 41.5%, 35∼39세 39.2%로 하향곡선을 그렸지만 남성은 45.3%에서 39.1%로 낮아졌다가 42.3%로 다시 높아졌습니다.
이번 연구는 서울 청년실태조사, 청년사회ㆍ경제실태조사 등 기존 통계자료를 성별 분리 데이터로 재분석했습니다.
자세한 통계 분석 내용은 다음 달 중 보고서 형태로 공개될 예정입니다.
댓글
(0)